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대구경북지역의 전문계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취업장벽인식이 취업미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적으로 분석하고 있다. 취업장벽인식의 개인적 요소로는 취업결정자기효능감, 취업준비의 부족, 부모님의 반대, 경제적 어려움 등을 그리고 환경적 요소로는 차별의 인식, 취업정보의 부족, 외부환경의 동태성(미래의 불확실성), 사회적 스티그마 등을 사용하였으며, 이러한 변수들이 취업미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과 이들 간의 관계에 사회적 지원인식이 미치는 조절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연구가설을 설정하였다. 실증분석의 결과, 낮은 취업결정자기효능감, 부모님의 반대, 취업정보의 부족, 외부환경의 동태성(미래의 불확실성), 사회적 스티그마 등과 같은 취업장벽인식이 높을수록 취업미결정수준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먼저 가족의 지원은 낮은 취업결정자기효능감과 취업준비의 부족 등과 함께 취업미결정수준에 부(-)의 조절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경제적 어려움과는 취업미결정수준에 정(+)의 조절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의 지원은 낮은 취업결정자기효능감과 함께 그리고 사회의 지원은 낮은 취업결정자기효능감, 취업준비의 부족, 사회적 스티그마 등과 함께 취업미결정수준에 정(+)의 조절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볼 때, 전문계 고등학생이 인식하는 취업장벽을 낮추어주기 위해서는 학교의 지원과 사회의 지원이 형식적이거나 요식적이 아닌 실질적인 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이 제시된다.


This is an exploratory study that is presented to analyze the effect of perceived career barriers on career indecision level among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 in Daegu and Gyeongbuk area. Career barriers are classified into both personal and social-environmental factors; Personal factors include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lack of job readiness, parental disapproval, and financial difficulties while social-environmental factors include awareness of social discrimination, lack of job-information, the uncertainty of socio-economic environment, and social stigma. As a consequence variable, career indecision level is included. This study is designed to explore the effect of career barriers on career indecision level. In addition, it also examines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s between those antecedents and consequence variable. Results show that low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parental disapproval, lack of job readiness, the uncertainty of socio-economic environment, and social stigma have significant negative effects on career indecision level. In addition, family support has positive moder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ow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lack of job readiness and career indecision level, but negative effects on financial difficulties and career indecision level. Schools' support has negative moder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ow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career indecision level, and corporate and community's support have negative moder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ow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lack of job readiness, and social stigma and career indecision level,These results suggest that efforts to reduce career barrier to employment should be made and the support of schools, corporate and community support should consider as a necessity in terms of practice rather than formality. Finally,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are presen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