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최근 학교조직도 개방화 등의 급격한 환경변화에 직면하여 구성원들의 적극적이고도 참여적인 태도와 행동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사들이 인지하는 임파워먼트와 학습성과로서 인지영역성과, 감성영역성과, 활동영역성과의 관계를 고찰하고, 또한 임파워먼트와 학습성과 간의 관계에서 재직기간의 조절효과를 실증분석하였다. 초중등학교 교사 693명을 대상으로 실증분석한 결과 의미감, 자기효능감, 자율성은 모두 인지영역성과, 감성영역성과, 활동영역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영향력은 인지영역성과와 활동영역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며, 감성영역성과에는 재직기간이 긴 경우에만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임파워먼트와 학습성과 간의 관계에서 재직기간의 조절효과에 대한 분석결과 의미감, 자기효능감, 자율성과 학습성과 간에는 재직기간의 조절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영향력은 감성영역성과와의 관계에서 재직기간의 조절효과가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또한 여성교사들은 남성교사들에 비하여 감성적 영역에서 높은 성과를 보여주었다.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empowerment and academic performance,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tenure on the relationship. Data of 693 questionnaires were gathered from teachers in Kangwon province area. The results of our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analyzed that meaning, self-efficacy, self determination related positively with academic performance factors in cognitive domain, affective domain and psychometric domain. And impact related positively with only two academic performance factors in cognitive domain and psychometric domain. Second, it appears that tenure affects positively onl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mpact and affective domain. And all other empowerment factors have same positive effects on academic performance factors in cognitive domain, affective domain and psychometric domain irrespectively of tenure. Third, female teacher tends to be higherly scored than male teacher in academic performance of affective doma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