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일중독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선행변수와 결과변수에 대해 연구하였다. 일중독의 선행변수로서 자기효능감과 완벽주의를 채택하여 일중독과의 관계를 규명하였고, 일중독의 결과변수로서 조직의 긍정적 측면인 조직몰입과 부정적 측면인 직무소진과의 관계를 연구하였다. 392명의 지식기반 서비스 종사자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자기효능감은 강박적 일중독에는 유의한 부(-)의 관계, 성취지향적일중독에는 유의한 정(+)의 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완벽주의는 일중독성향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완벽주의는 강박적 일중독과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셋째, 일중독성향은 결과변수인 조직몰입 및 직무소진에 모두 정의 관계를 보여주었다. 일중독성향은 조직성과에 긍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으나 직무소진이 함께 증가할 수 한다는 의미이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추후 연구 방법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antecedent and outcome variables, which can influence workaholism disposition.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aholism disposition and its antecedent variables which are set up as self-efficacy, perfectionism. It also expl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two outcome variables of workaholism, namely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burnout which are considered as positive and negative aspect of an organization respectively. By analysing the data collected from 392 employees in knowledge based service workers, the present study obtains the findings as follows. First, self-efficacy was negatively related to the obsessive-compulsive workaholism, whereas self-efficacy was positively related to the achievement-oriented workaholism. Second, perfectionism has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s on workaholism disposition. Especially, perfectionism is closely associated with the obsessive-compulsive workaholism. Finally, workaholism disposition have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burnout.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directions for the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