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분양가상한제 시행공시가 건설사의 주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사건연구방법을 이용하여 공시의 정보효과를 살펴보았으며, 회귀분석방법을 이용하여 건설사 주식의 누적초과수익률과 관련이 있는 회계변수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다음과 같은 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첫째, 정부의 분양가상한제 시행공시는 건설사 주식의 누적초과수익률에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공시일전 -15일부터 +1일의 17일 동안 누적초과수익률은 -10.49%로 1%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분양가상한제 시행공시가 향후 건설사들의 경영성과를 악화시킬 것이라는 정보를 증권시장에 전달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둘째, 회귀분석결과 누적초과수익률은 부채비율, 매출액순이익률과 음(-)의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분양가상한제 시행공시는 부채비율과 매출액 순이익률이 높은 건설사의 주가를 더 큰 폭으로 하락시킨다고 볼 수 있다.


In this study, we examine the stock price of construction firms which are affected by price ceiling regulation of real estate policy. As empirical methodology, we use the traditional event study to test the influence of real estate policy and the regression analysis to test which accounting variables are affe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cumulative abnormal return of stock is negative when government announced the price ceiling regulation. The cumulative abnormal return of stock for 17 trading day before -15 to +1 day is -10.49% which is significant different from zero at 1 percent level. This result suggest that the price ceiling regulation conveys bad information to stock market that the firms performance will be bad in the future. Second, in the regression analysis we find that the cumulative abnormal return of stock is related to firm’s debt ratio and net profit to net sales ratio. This result suggest that the higher the debt ratio & net profit to net sales ratio, the lower the cumulative abnormal retur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