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에서는 야요이시대 전기 말 이후 일본열도의 북부 규슈지역 출토 한반도계 토기와 야요이 토기의 관계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먼저 선행연구의 성과를 통하여 조몬시대에서 야요이시대로의 이행기에 한반도 무문토기의 영향을 받아 야요이 토기의 호와 옹이라는 기본 기종이 성립되었음을 논의의 전제로 삼았다. 야요이시대전기 말 이후 시기에 따라 몇 가지 특징적인 토기들이 확인되는데, 원형점토대토기를 지표로 하는 수석리식 토기, 삼각형점토대토기를 지표로 하는 늑도식 토기, 낙랑계 토기, 삼한계 토기 등이 북부 규슈를 중심으로 서일본지역에서 출토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을 바탕으로 우선 ① 수석리식 토기와 야요이 토기의 절충 과정에서 중기 이후 고배의 수량이 증가함을 지적하였다. 그리고 다음으로 ② 기존부터 한반도계 토기의 영향으로 여겨졌던 야요이 토기의 환저화와 관련하여 자비구인 옹을 설치하기 위한 지각과의 관계, ③ 산화염 소성뿐인 야요이토기와 환원염 소성된 기종이 다수 존재하는 낙랑계 토기·삼한계 토기 등을 비교하여 한반도 토기와 북부 규슈 야요이 토기의 영향과 차이점을 논하였다. 한반도계 토기 요소의 수용 당시 북부 규슈지역에서는 토기제작상의 기술적 측면, 생활양식, 도래인의 인구규모, 사회조직의 양상 등에 상응하여 야요이인의 선택이 존재하였다고 생각한다.


In this article, I discuss the relationships between Korean Peninsula-style pottery found in the Japanese Islands and Yayoi pottery during Yayoi period, mainly after the end of early Yayoi period. First I confirmed that during the transitional stage from Jomon period to Yayoi period the basic shape categories of Yayoi pottery, vase and pot, were formed under the influence of Mumun pottery of the Korean Peninsula. After the end of early Yayoi period, during Yayoi period, Suseok-ri-style pottery indicated by pottery with clay band of round cross section, Neok-do-style pottery indicated by pottery with clay band of triangular cross section, Naklang-style pottery and Samhan-style pottery were found around western part of the Japanese island, especially in northern Kyushu area. I recognize the situation mentioned above and discuss the following three points. The first point at issue is the increase of pedestaled dish during the process of the hybridization between Suseok-ri-style pottery and Yayoi pottery. The second point at issue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nge to round shaped bottom of Yayoi pottery in Late Yayoi period and the clay vessel support for pot at the fire place. The third point at issue is the comparison about the way of firing pottery between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Japanese Islands at that time. I think that the first point is the example that Korean Peninsula-style pottery affected Yayoi pottery in northern Kyushu and that the second and the third points are the examples that there were the differences between Korean Peninsula-style pottery and Yayoi pottery. In the case of accepting the elements of Korean Peninsula-style pottery in this period, Yayoi people and their society selected these elements according to the technical aspects of making pottery, their life styles, the size of population who came from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situation of the organization of Yayoi socie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