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지금까지 영미 생명보험 제도의 발달은 자본주의 발달의 경제적 요인과 연결되어 주로 논의되었다. 그러나 생사의 문제를 다루는 생명보험은 어렵게나마 종교적 갈등과 사회문화적 저항의 성층권을 통과한 이후에야 비로소 경제적 동기와 결부되어 진전을 보게 되었던 것이다. 초기 영미의 생명보험을 경제적 관점이 아닌 종교 문화적 차원에서 접근하려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영미 생명보험의 형성과 발전은 기독교와 밀접한 종교적 관계를 갖고 있다. 생명보험제도는 형성기에 신의 영역에 속하였던 생사문제를 근대 합리성의 지식체계로 통제하고 가격의 상품화에 편입시키려는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종교․신학적 저항에 부딪히게 되었다. 영미에서 생명보험은 생사문제와 신의 섭리, 성스러운 생명의 시장 세속화, 합리적 지식과 신성영역의 충돌, 도박성의 도덕적 논란 등 종교적으로 숱한 찬반 논쟁을 거쳐야 했다. 여기서 우리는 근대화의 과정에서 현실과 일정하게 화해하는 기독교적 실용주의와 함께 신의 역할론을 수정하는 과정도 살펴 볼 수 있었다. 생명보험은 단순한 집단의 리스크 풀링이 아니라 신과 인간의 전반적인 질서와 세계관을 반영해 주는 사회학적 지표로서 기능하고 있었던 것이다. 생명보험은 온건한 프로테스탄트와 영국교회처럼 현실 인식적인 종교적 수용을 통하거나 인간의 의지를 강조하는 교파에 의해서 종교적 프리즘을 통과할 수 있었다. 생명보험과 기독교적 논쟁은 신과 인간의 관계에서 설정된 신학적 관계와 충돌되는 것을 의미하지만 결국 생명보험은 종교적 영향력이 쇠퇴한 현재에도 생명의 신성함과 관련되는 사회․도덕적 윤리규범 속에서 항상 제기되는 끝없는 숙제라 할 수 있다.


Christianity have a close relation with Anglo-American life insurance on its formation and development. Opposition to life insurance resulted largely from a value system of church that condemned a financial evaluation of human life. Religious debates against life insurance is primarily concerned with the secularization of a sacred death. Speculating with the solemn event of death seemed to many a degrading sacrilegious wager. In the process of a religion-historical difficulties and selective affinity, Christianity became to find out a meeting point with a life insurance, in addition to the backdown of Providence, reinterpreting the religious doctrine into a capitalistic situation and value. In case of England, the life insurance could seek a breakthrough by joining hands with a moderate and realistic Protestant, Anglicans and Latitudinarian. American life insurance overcame its discontinuity by Voluntaristic group of stressing a human will and self-help in spite of the vigor objection of Fundamentalist. My work is an attempt to broad, through a religion-historical research, the socio-cultural perspective of life insura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