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전자무역을 도입하고 있는 수출업체의 특성이 전자무역의 정성적 정량적 활용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전자무역의 성과에도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 영향요인을 규명하여 향후 전자무역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업일반특성을 기업특성, 산업특성, 정보화특성으로 나누어 제시하였고, 활용수준도 정성적 활용수준과 정량적 활용수준으로 구분하였고, 기업성과도 경제적 성과와 전략적 성과로 나누어 연구모형과 가설을 도출하였다. 실증분석결과 수출기업이 전자무역을 활용하는데 있어 거래상대방과의 전자무역시스템을 상호구축하고 협력정도를 높이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업무의 적합성과 IT 기술 및 지식에 대한 조직구성원의 교육훈련정도 역시 전자무역의 활용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nalyzes the determinants of practical usage and performance of e-Trade of Korean export and import firms. The determinants were developed and tested using the experiences of 264 firms exporting regularly.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e-trade performance with the factors affecting its performance, such as company characteristics,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in connection with trade, and information characteristics in company. The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in two stages. According to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ter-organizational cooperation and education-training were very important for e-Trade. Also, the result of this analysis showed that the suitability of business and the competitive degree of industry prompted the performance of e-Trade syste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