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신고전학파의 패러다임은 희소성과 극대화 원리, 경제인(호모에코노미쿠스)의 방법론적 개인주의에 기초하고 있다. 이것은 과도한 추상화, 합리성의 모순, 인간을 오로지 이득본능에 따라 행동하는 추상적 경제인으로 간주하고 있다는 문제점을 갖는다. 인간은 원래 경제적이지 않고 사회적 관계망 속에서 다양한 동기를 갖고 행동하는 전체론적 존재이다. Karl Polanyi도 새로운 경제개념으로서 경험적·물질적 차원의 실체적(substantive) 경제를 제시하였다. 여기서 인간모델 또한 경제적 이득본능이 아니라 사회적 관계와 다양한 동기 속에서 행동하는 존재론적 차원에서 접근할 가능성을 갖게 된다. 본고에서는 실체적 경제개념의 큰 틀 속에 호혜의 심층적 작동원리가 현대에서 어떻게 회복되어야 하며, 이것이 호모 리시프로칸과 어떤 연결고리를 가질 것인가를 검토하였다. 오늘날에는 호혜와 시장교환의 통합형태는 단순한 시간적 서열관계가 아니라 어떻게 상호작용하면서 현대의 사회성을 회복할 것인가 하는 방법론적 접근이 보다 절실하다. 호혜와 시장경제는 상호작용하여 새로운 제3의 통합형태를 만들어가는 것이 필요하다. 사회의 호혜적 상황과 연결되는 호모 리시프로칸은 전통적 호혜가 하우(hau)의 영적구조 속에서 증여와 반례를 순환하였듯이 현대사회에서는 이들 인간유형을 사회적으로 표출하기 위해서는 사회적 규범과 문화적 가치의 승인이 항상 조명되어야 하는 것이다.


A large number of critics suggests that Neo-classic paradigm have the fallacy of misplaced concreteness by an excess abstraction of Homo economicus including the principle of scarcity and maximum. Human is not economic or self-interesting by nature, but a wholistic being acting on variable motives in the socal context. Karl Polanyi have suggested the substantive concept which constitutes a materialistic and empirical economy criticizing a formalism of Neo-classic economics. Karl Polanyi's substantive economy can provide for methods in a market exchange mechanism to recover a reciprocity pattern motivated Hau(a obligation of gift and count-giving). Homo reciprocan constitutes a character of tit-for-tat with moral codes of what is socially good and bad. This paper shows a possibility that Hau of the first reciprocity of three integration patterns can be connected by a cultural structure and social no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