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은 한국․인도간의 CEPA체결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는 상황에서, 인도의 경제정책현황과 대외경제관계변화을 분석하고, 특히 일본의 인도 경제관계 심화와 전략을 분석하여 향후 우리나라의 문제점과 대응방안을 제시하는 것이 주요 목적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현재 인도에 진출국들의 인도와 정치경제적 협력관계 조성과 투자 등에 대한 자료를 검토 분석한다. 분석대상국은 최근 가장 인도와 활발한 경제관계를 형성하고 있는 싱가포르, 아세안, 미국, EU, 일본 등이다. 그리고 그 중 우리와 다방면에서 경쟁관계에 있는 일본의 대인도 경제관계와 중장기적 전략을 세밀히 분석한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서 CEPA 체결로 인한 우리나라의 대인도 기대효과에 대한 문제점을 제시하고, 그에 따른 여덟 가지 측면, 즉 투자대상의 다변화, 시장 진출방식, 투자기업의 변화, 인도-ASEAN 연계전략, 투자지역의 다각화, 소비층의 다양화, 노무관리 시스템과 진출기업의 애로사항, CEPA의 재검토 조항에 대한 대비 등에 대해서 대응방안을 제시한다


South Korea and India have concluded CEPA that every country has an high expectation. In this situation, this paper tries to analyze economic-political environment in India and the changing economic relationships toward foreign countries. This paper is focused on providing problems and countermeasures afterwards, especially analyzing the intensive economic relationships and strategies between Japan and India. This paper will analyze investigate and analyze the data on political and economic relationships and investment of foreign countries in India to achieve these aims. The countries are Singapore, ASEAN, the U.S.A, EU, and Japan and so on. All these countries have the most prominent economic relationships in India. Moreover, this paper is to analyze economic relationships of Japan in India which form competitive relationships in various fields as well as mid and long term strategies in a detailed w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