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이주 노동자들의 한국 사회 적응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인구학적 배경변인과 민족정체성 및 이주스트레스 인식 수준에 따른 문화적응 정도를 파악함으로서 이주 근로자의 문화적응을 위한 개입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도권에 거주하는 이주근로자 248명을 대상으로 연구되었다. 조사결과 연구대상자들의 자민족 정체성 수준은 2.8점, 타민족 수용성은 2.5로 평균(2.0)보다 다소 높게 나타났으며, 이주스트레스는 2.5점으로 평균(2.5)수준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문화적응 수준은 2.1로 평균(2.5)보다 조금 낮게 적응 수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주근로자의 민족정체성 중 자민족정체성은 학력, 출신국, 성별에 따라서 차이가 있었으며, 타민족 수용성은 출신국, 학력에 따라서 차이를 보였고, 이주에 따른 스트레스는 성별, 출신국, 월수입, 한국어수준에 따라서 차이를 보였으며, 문화적응 수준은 성별, 출신국, 월수입, 체류기간, 한국어능력에 따라서 차이를 나타냈다. 또한 각 변인 간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이주스트레스는 문화적응과 부적인 상관관계를, 타민족수용성과는 정적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주근로자의 문화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인구학적 변인으로는 한국어수준, 출신국, 월수입이 설명력을 보였으며, 이주스트레스 하위 변인 중 법적지위와 차별경험으로 인한 스트레스와 타민족 수용성 변인이 설명력있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이주근로자의 한국 사회적응을 증진시키기 위한 사회적 정책 실천방향과 개입의 필요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is aimed to search the intervention plan for cultural adaption of immigrant workers by understanding the degree of cultural adaption according to the sociodemographical background, national identity and the recognition level of migration stress to affect their adaptation process to Korean society. Moreover, there are some differences in their own national identity among their ethnic identity of immigrant workers according to their educational background, their country of origin, and their gender. And there are also some differences in their acceptability of other foreign races according to their country of origin and their educational background; in the recognition level of migration stress according to their gender, their country of origin, their monthly income and their level of Korean language; in the level of cultural adaption according to their gender, their country of origin, their monthly income, the length of their stay and their ability of Korean language. Furthermor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correlation among all kinds of variables indicate that there i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migration stress and cultural adaption. Among the sociodemographical variables to affect cultural adaption of immigrant workers, their level of Korean language, their country of origin and their monthly income have power of explanation; among the lower variables of migration stress, the stress by legal status and experience with discrimination and their acceptability of other foreign races have power of explanation though.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I have discussed the necessity of direction and intervention of practical social policy to promote the adaptation of immigrant workers to Korean socie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