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mpact of the nominal effective exchange rate on output and inflation under the free floating exchange rate regime in Korea. To achieve this research objective, a vector error correction model is applied to data from the January 1998 to June 2013. The results of vector error correction model analysis show that the nominal effective exchange rate has a positive and significant impact on output in Korea, but that it has an insignificant impact on inflation. The results of a Granger causality test also suggest that a bi-directional causality exists between the exchange rate and output, but that causality does not exist between the exchange rate and inflation. Finally, the results of a robustness test which is executed by adding regressors provide that the regression coefficient estimates remain effective and significant. Thus, we can say that the Korean economy has benefited from an expansion in output owing to exchange rate depreciation, which has had a comparatively lesser impact on inflation under the free floating exchange rate regime.


본 연구는 자유변동환율제도 도입 이후 명목실질환율의 변화가 한국의 산업생산과 소비자물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있다. 분석기간은 1998년 1월부터 2013년 6월까지이며, 시계열 변수들의 공적분관계에 따라 다변수 벡터오차수정모형을 활용했다. 분석 결과 한국의 명목실질환율은 산업생산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주는 반면, 인플레이션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랜저 인과관계 검정에서도 환율과 산업생산 간에는 양방향 인과관계가 존재했지만, 환율과 인플레이션 간에는 특별한 인과관계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이 결과는 충격반응함수분석에서도 동일했다. 또한 다변수 벡터오차수정모형의 강건성 확인을 위하여 통화량과 무역수지를 설명변수로 추가한 확장모형을 구축하여 실증분석을 수행한 결과, 확장모형에서도 기본모형의 분석결과는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먼델-플레밍 모형이나 케인지안의 주장과 같이 한국경제는 자유변동환율제도를 실시한 이후 환율의 평가절하가 물가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한 상태에서 산업생산의 확대(평가절하의 확장효과)를 경험하고 있음을 확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