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모바일TV 시대를 연 지상파DMB는 수신단말의 놀라운 확산에도 불구하고 사업자의 수익은 비례하여 증가하지 않았다. 여기에는 광고 의존, 수신품질 미비, 콘텐츠 경쟁력 미약 등이 주요 요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최근에는 N스크린, 모바일 IPTV 등의 융합형 모바일 방송들이 출현하여 경쟁이 심화되고 있지만, 지상파DMB는 상대적으로 수신환경과 화질에서 약점이 부각되고 있다. 지상파DMB 사업자들은 유료방송 모델을 유력한 대안으로 판단하고, 이를 위해 혁신 기술들을 도입하려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관련 논의는 공급자 위주로 진행되었으며, 시청자의 관점에서 필요성과 전략이 논의되거나, 시장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도 없었다. 본 논문에서는 지상파DMB특별위원회가 제안한 유료화 방안 중 유망한 모델에 대하여 수용자 편익을 산정하였다. 그 과정에서 진술선호를 이용한 조건부 가치평가법을 적용하여 지불의사액의 형태로 정량화된 결과를 얻었으며, 광의의 공익적 관점에서 사업 타당성을 제시하였다. 또한 비즈니스 전략 수립에 고려하여야 할 요인들을 발굴하여 그 영향도 분석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시된 분석 결과들은 사업자들이 유료 서비스 제공을 결심하거나, 정부, 이통사 등 관련 주체들과 협의할 때 합리적인 논의의 출발점이 될 것이다.


Terrestrial-DMB opened the mobile TV era in Korea, and has been positioned as free universal service. It has deeply depended upon the commercial advertisement which has been the weak point of the broadcasters in financil aspect. Even though astonishing spread of the T-DMB receivers in Korea, the revenue has not been increased in parallel. The lower quality of the picture, incomplete network and the dissatisfactory contents have been regarded as the major contributors to the recession. Recently the N-screen services and mobile IPTV make competing relations with T-DMB, weaknesses of T-DMB is more noticeable. For the revival of T-DMB, broadcasters have tried to begin pay services by applying innovative technologies. Then debates began among broadcasters, regulators and Telcos on various aspect of the new services, just omitting the users’ aspect or mobile TV market analysis. This study estimates users’ benefit for the promising pay services which the ‘T-DMB Special Committee’ suggested. Considering the shortage of market data for mobile TV, the Contingent Valuation Method and the stated-preference data were adopted to the analysis. The implications from the study can be the starting point of the substantial and productive discussion among the people concern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