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에서는 K-IFRS 제1019호의 도입 이후 확정급여형 퇴직연금제도를 채택한 기업을 대상으로 퇴직연금요소의 가치관련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이를 위하여 K-IFRS를 전면 도입한 2011년부터 2013년까지 3년간 확정급여형 퇴직연금제도를 채택한 상장기업 중 제조업을 대상으로 기업-연도 관찰치를 수집하였다. 분석 결과, 퇴직급여와 관련된 회계정보는 가치관련성을 가짐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퇴직연금의 적립수준을 나타내는 순확정급여부채는 주가와 유의한 음의 관계를 보였으며, 순확정급여부채의 구성요소인 확정급여채무와 사외적립자산은 각각 주가와 유의한 음과 양의 관계를 가짐을 확인하였다. 또한 주석에 공시되는 퇴직급여원가의 주요구성항목들도 검증한 결과, 주가와 가치관련성을 가지나 일부 항목은 일관된 결과가 보이지 않았다. 추가분석에서는 이들 퇴직급여원가의 구성 항목들이 주가와 비선형관계를 가질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 연구에서 거의 다루지 않은 퇴직급여와 관련된 회계정보의 가치관련성에 대해 체계적으로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공헌점을 갖는다. 또한 퇴직급여와 관련하여 주석에 공시되는 세부정보에 대한 가치관련성을 검증함으로써 퇴직급여와 관련하여 주석에 공시되는 정보들도 정보효과를 가짐을 확인하였다.


In this paper, we examine value relevance of accounting numbers pertinent to post-employment benefits under K-IFRS No.1019. K-IFRS No.1019 requires companies to use the projected unit credit method to estimate pension costs and pension liabilities, and to disclose separately several components of pension costs. In order to find out whether pension accounting numbers are valued by the stock market, we use a sample of KOSPI-listed manufacturing firms with defined benefit pension plan from 2011 to 2013. The major findings are : (1) We find, as expected, that pension liability(the present value of the defined benefit obligation) and pension assets(plan assets) are value relevant. (2) Pension expenses(defined benefit cost) are value-relevant, that is, estimation for the regression coefficient turns out to be significantly negative. Additionally we disaggregate the pension expenses into current service cost, interest expense and expected return on plan assets and so on. Contrary to expectations, the coefficients on interest expense and expected return on plan assets are significantly positive and negative respectively. This puzzling result, that has also turned up in additional analysis, could be attributable to nonlinear relationship between the pension cost components and stock price. Another possibility is that information users may discount or ignore information disclosed on the footnote. Overall, the results suggest that information on the post-retirement benefits is value relevant. This study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considering information on post-employment benefits in the 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