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This paper tries to shed both theoretical and empirical light on movie run-length, focusing on the effects of opportunity cost, the ratio of ticket revenue sharing for the theater and the vertically integrated industrial organization. The theoretical analysis is performed based on a simple profit maximization model taking some practices of Korean movie industry into consideration. The empirical analysis is done with daily screening data of 316 wide-released foreign movies exhibited in multiplex theaters in Seoul and six Metropolitan cities in Korea. Major empirical findings are as follows: the run-length of a current movie has a negative relation with expected opportunity cost measured by the highest number of open screens among the newly released movies, secondly has a positive relation with the difference in revenue sharing ratio for the theaters between the current showing movie and the next movie with the highest ticket sales potential and lastly vertical integrated theaters exhibit the movies distributed by their affiliated distributors longer than the other movies, supporting the argument that industrial organizational forms in terms of vertical integration among distributors and exhibitors matter in run-length decision by exhibitors. These empirical findings are consent with the theoretical predictions.


본 연구는 우리나라 영화시장에서 상영관과 배급사간 이해관계가 자주 대립되는 영화상영기간의 결정요인에 대해 검토한다. 특히, 상영관과 배급사간의 수입배분방식, 현재 영화상영에 따른 기회비용, 그리고 상영관과 배급사 간의 수직결합에 초점을 두고, 이론 및 실증적으로 분석한다. 이론 모형에서는 상영관과 배급사간의 한국적 관행을 고려한 이윤극대화 모형을 통해 분석하였고, 실증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서울 및 6대 광역시의 상영관에서 상영한 외국영화의 일별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상영관은 상영관 수입배분비율이 높을수록 영화상영기간이 늘어남을 알 수 있고, 또한 차기의 흥행이 예상되는 영화가 새롭게 개봉되는 경우 현재 영화의 상영을 줄이려 하며, 수직계열화된 자기 배급사가 배급한 영화를 더 오래 상영하는 경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배급사와 상영관 간의 상영기간에 대한 이견이 수직결합 혹은 수입배분 관행의 변화를 통해 자연스럽게 해결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