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사회적기업은 일자리 해결과 사회서비스 공급 확대 방안이라는 기대와 달리 양적 성장에 반한 내실 및 지속 가능성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는 전남의 농수산가공식품 사회적기업의 수출전략 요인 분석을 통하여 향후 수출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는 대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와 시사점을 요약하면 먼저, 수출전략 상위계층으로 전남 사회적기업이 수출을 하는데 있어서 가장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할 것은 자치단체 지원이며, 수출제품, 수출촉진, 수출가격, 수출경로 순이었다. 다음 수출제품에서는 디자인, 우수한 품질, 상표, 포장, 대량생산체제 순이며, 수출가격에서는 적정가격, 고가, 저가 순으로 나타났고, 수출경로에서는 간접수출, 직접수출, 해외현지생산 및 판매 순이었다. 수출촉진에서는 국내거주 외국인 활용, 재외동포 네트워크 활용, 해외 판매전문인력 활용, 수출홍보, 수출광고 순이었으며, 자치단체 지원에서는 기금조성 및 금융지원, 수출전문인력 지원, 해외광고 및 홍보 지원, 해외시장조사 및 정보제공 순으로 나타났다. 전남 사회적기업의 수출전략을 위한 요인별 최종 가중치 우선순위를 보면, 기금조성 및 금융지원, 디자인, 수출전문인력 지원, 국내거주 외국인 활용, 우수한 품질, 재외동포 네트워크 활용, 해외광고 홍보지원 등의 순이었고, 직접수출, 해외 현지생산 및 판매는 상대적으로 중요도가 가장 낮은 요인이었다. 전남은 다른 상위계층 요인보다 자치단체 지원에서 2개 요인 즉, 재정적 지원, 수출전문인력 지원을 주요 요인으로 인식함으로써 지원에 대한 기대심리를 내포하고 있다. 이것은 수출기업화를 위해서는 지원 기대를 전제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러한 점은 상당한 장애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사회적기업이 수출기업화를 통하여 국내시장의 한계를 벗어나 해외시장 판로개척을 위한 필요 요인들을 찾아내고 우선순위를 살펴보았다는데 의미가 있다. 연구의 한계는 각 요인들에 대한 구체적 방안과 전략을 제시하는 데는 부족하였고 이것은 추후 과제이다.


Social enterprise has problems with substantiality and sustainability against its quantitative growth instead of, as was originally expected, creating more jobs and providing more social services. In this context, this study presented alternatives for increasing export businesses through the export enhancing strategies of social enterprises in agricultural and marine processed foods in Jeonnam Province. The results and suggestions of the study a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the most important things in export of social enterprises were the support of self-governing bodies followed by products, promotion, prices and placing of export in good order. Then, what are important for export products are the design, quality, brand name, packaging and mass-production systems. With respect to the export price, the proper price and the high and low prices were considered as important. For the export placing, indirect export, direct export, and overseas production and sale were important. For export promotion, the use of foreigners living in Korea, networks between Koreans living in overseas areas, experts in overseas sales, and export promotion and advertising were important. In the self-governing organizations, funding, financial support, support with export expertise, overseas advertising and promotion support, overseas market surveys and information provision were important. The priorities of final weights for each factor for export strategies for social enterprises in Jeonnam Province were funding, financial support, design, support of export experts, the use of foreigners living in Korea, having good quality, the use of networks between Koreans living in foreign countries, and support for overseas advertising promotion. Having direct export as well as overseas production and sales were relatively insignificant. Jeonnam considered two factors in support of self-governing organizations, that is, financial support and support with export experts as important, which included expectations of support. As it assumed that social enterprises expected support for export business, this can work as a considerable barrier. This study has meaning in that it searched for the necessary factors in order to advance into overseas markets and the priorities involved. However, it has limitations in that it did not satisfactorily provide specific methods and strategies to enhance the export business for social enterprises and suggests further studies on th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