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호텔 식음료 부서 직원의 유니폼 만족도와 자지 이미지와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설문지는 서울시내 11개 특1급 호텔을 대상으로 300부의 설문을 2007년 6월 20일에서 7월10일 까지 받아 그 중 사용할 수 없는 설문 26부를 제외한 274부의 설문을 본 연구에서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를 보면, 첫째, 유니폼 만족도 요인에서 업무성격이나 품위를 표현할 수 있는 유니폼의 ‘전문성요인’과 업무수행에 적합한 ‘기능성요인’ 그리고 여성(남성)다운 유니폼의 ‘정숙성요인’은 자기 이미지 요인인 호텔업무 수행에 있어서의 유능함을 나타내는 ‘리더쉽과 유능함 요인’ 그리고 언제나 고객에게 만족을 줄 수 있는 ‘전문적 실무능력 요인’과 상호 유의적인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유니폼의 ‘전문성 요인’과 자기 이미지의 ‘전문적 실무요인’은 서로 높은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타이트 하지 않아 활동하기에 편함’, ‘유행보다는 편안함에 만족함’ 등을 대표하는 유니폼 만족도의 ‘편안함요인’은 자기이미지 요인의 ‘나는 고객에게 쉽게 다가선다’, ‘직원들과의 활발한 업무교류를 한다’ 의 ‘적극성요인’과 서로 상호 유의적인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음은 업무 수행에 편리한 유니폼에 만족하는 직원들일수록 고객에게 적극적으로 서비스 하는 직원이라는 자기 이미지를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셋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유니폼 만족도에 대한 실증 분석, 성별에 따른 유니폼 만족도에 있어서 성별, 학력, 연령, 경력, 소득과 같은 일반적인 사항에 대한 유니폼 만족도 차이검증을 통해 성별에 있어 전문성과 심미성 그리고 기능성에 있어서 남여 간의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고, 학력에 있어서는 전문성과 편안함 요인에서 학력별로 만족도의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고, 연령에 따라서 전문성, 심미성, 기능성, 정숙성 요인에서 만족도의 차이를 보였으며, 경력에 따른 만족도의 차이는 심미성 요인에서 경력이 적은 직원들이 강한 만족도를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hotel employees' uniform satisfaction and self image. Using empirical research methodology with a sample of hotel F&B employees, this study finds that hotel F&B employees' uniform satisfaction factor (Professionalism, aestheticism, comfort, functionality, modesty) are related with their self image factors(Strong leadership& competence, practical capability, satisfaction, positiveness.) This study concludes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hotel F&B employees' uniform satisfaction and self-image is highly correlated with each oth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