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최근 들어 삶의 질과 개인 생활을 중시하는 경향이 곳곳에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변화에 대응하여 선진 기업들은 유연근로제도 등을 도입 직장과 가정의 갈들을 해소하고 이를 토대로 기업의 경영성과 제고를 추구하고 있다. 그러나 호텔기업은 아직까지 일과 생활의 균형 에 대한 관심이나 노력이 거의 없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일정 부분 불가피할 수 밖에 없는 직장-가정 갈등이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조직몰입의 조절효과를 가설화하고 이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조직에 대해 애착이나 정서적 유대감을 지닌 종업원은 직장-가정 갈등이 있는 경우에도 그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행동하거나 그러한 태도를 보일 것으로 추론할 수 있기 때문이다.호텔 종업원을 대상으로 한 실증 분석 결과 직장-가정 갈등은 이직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조직몰입은 이 과정에서 조절 역할을 한다기보다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하나의 독립변수로 작용하였다. 유지적 몰입 역시 이직의도에 독립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정서적 몰입은 직장-가정 갈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정서적으로 몰입한 경우 직장-가정 갈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정서적으로 몰입하지 않은 경우보다 적을 것으로 확인되었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investigate how work-family conflict influences turnover intention and to examine the moderating role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affectiv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calculative organizational commitment. Based on the literature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family conflict and turnover intention and moderating role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affectiv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calculative organizational commitment were empirically tested. The results are as followed;First, work-family conflict has an positive impact on the turnover intention.Seco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calculative organizational commitment are not moderating variables, but affective organizational commitment has quasi-mediating effect.Based on the findings human resource management practices to improve affective organizational commitment are requir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