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심리적자본, 개인 창의성 및 조직몰입의 관계를 파악하고, 심리적자본과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개인 창의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국내 10개 여행사의 종사원들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활용하여 조사하였으며, 319부를 회수하여 유효하지 않은 설문을 제외하고 289부를 중심으로 SPSS Win. Ver. 12.0 통계패키지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 첫째, 심리적자본은 개인 창의성와 조직몰입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개인 창의성은 조직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개인 창의성의 매개효과를 확인한 결과, 개인 창의성은 심리적자본과 조직몰입 사이에서 부분매개하면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여행사 종사원들의 심리적자본의 하부 요인들과 개인 창의성 및 조직몰입에 대해 실증적 분석을 통하여 통계적 유의성을 제시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이러한 각 변수들 간의 영향관계에 대한 실증적 분석은 향후 이와 관련된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 이론적 시사점과 함께 조직 구성원의 심리적자본 강화 및 개인 창의성 발휘를 위해 여행사 조직 차원의 실무적 시사점을 얻었으며, 구체적인 사항은 본문에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among psychological capital, individual creativity,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verified the mediated effects of individual creativity in this relationship using the SPSS WIN 12.0 version of software package. For this study, the data was collected through off-line surveys of travel agency's employees from 10 different travel agency. Among the 319 answers from voluntary participating employees, 289 answers were finally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psychological capital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individual creativit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Second, Individual creativity had a positive influenc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rd, Individual creativity had a meaningful influence by partially mediating and Individual creativity but completely mediated psychological capital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s study focused on psychological capital factors that have influences on showing personal creativity and has importance in the point that it has suggested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by analyzing the psychological capital and individual creativity to reinforce this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a positive way. Positive analysis on the relationships among these variables suggests a theoretical meaning on providing a future direction for the study and practical meaning on providing ideas to reinforce the employees’ psychological capital and personal creativity. The details of this study are followed in the main t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