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관광지내 모바일 관광앱 이용활성화를 위한 잠재시장을 선정하고, 둘째, 그들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모바일 관광정보서비스 속성을 파악하며, 셋째, AIO 척도를 이용한 라이프스타일 유형과 인구통계학적 변수를 근거로 잠재시장 프로파일을 파악하여 관광지내 모바일 관광앱 서비스 이용을 증진시킬 수 있는 마케팅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표로 진행되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수원화성을 방문하는 방문객들에게 모바일 관광앱에 과 수원화성 관광앱의 인지여부 및 사용여부를 확인하고, 방문객들이 추구하는 관광정보서비스 속성의 선호도 측정 및 라이프스타일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 분석의 결과, 관광목적지의 관광앱을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모바일 관광앱을 인지하는 관광객을 잠재시장으로 선정해야 함을 알 수 있다. 마찬가지로 관광정보서비스 속성의 중요도에서도 인지그룹은 여러 속성 중 ‘정보접속성’을 선호하며, 현장에서는 ‘이용편리성’ 등에 중점을 두는 반면, 비인지 그룹은 ‘흥미유발성’을 중요시하고 있다. 즉, 인지여부에 따른 속성의 중요도에 차이가 있다는 것이 검증되었다. 마지막으로,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차이를 보면 모바일 관광앱을 인지하는 잠재시장은 ‘자기주도형’인 반면, 비인지 방문객들은 ‘유행추구형’ 으로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인지그룹과 비인지 그룹의 잠재시장의 선정 및 인지여부에 따른 라이프스타일의 차이와 관광정보서비스 속성의 중요도 차이는 향후 관광지내 모바일 관광앱의 개발 방향 및 홍보방향 제시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potential markets to promote mobile tourism App.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lifestyle on AIO analysis was used for getting the visitors' lifestyle typology and the attributes of tourism information service were measured for researching potential market's preferenc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group who perceived mobile tourism App is selected as potential market because this group not only perceived the mobile Hawseong App but also made use of it more than non-perceived group. Second, Depending on perception of mobile tourism App, visitors have a different way of the attributes of mobile tourism information service. Particularly, the perceived group tend to prefer information accessibility and the non-perceived group consider the induced interest. Last, The results also showed that it is a difference between lifestyle of two groups. The perceived group indicated the self-directed lifestyle and the pursuit of fashion were revealed in non-perceived group. Based on these significant findings, theoretical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