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최근 다양한 용도로 소비자들의 스마트폰 사용이 증가됨에 따라 소비자의 트렌드를 반영한 어플리케이션들이 개발되고 있다. 특히 관광객을 위한 모바일 관광지 어플리케이션들이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관광 정보매체로서 비중이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한 관광정보는 정보소비자인 잠재관광객들에게 고품질 관광정보를 시간적, 공간적 제약이 없이 활용할 수 있게 허용함으로써 정보소비자 및 정보공급자들에게 중요한 의미와 가치를 부여하고 있다. 그 중 관광지 스토리텔링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함에 따라 관광객들은 모바일 정보서비스를 이용하여 관광지 이용에 편리함을 느낄 수 있고, 알고 싶은 정보를 검색하여 정보를 습득할 수도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술수용모델(TAM)을 중심으로 관광지 스토리텔링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사용의도를 파악하였다. 관광지 스토리텔링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구성요인이 지각된 사용용이성(Perceived Ease of Use) 및 지각된 유용성(Perceived Usefulness)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정도를 파악하였다. 분석결과, 관광지 스토리텔링 어플리케이션 구성요인 중 교육성, 다양성, 접근성은 지각된사용용이성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각된 유용성에 미치는 구성요인은 교육성만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지각된 사용용이성 및 지각된 유용성, 사용의도와의 관계에서는 지각된 사용용이성이 높을수록 지각된 유용성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각된 사용용이성과 지각된 유용성은 사용의도에 정(+)의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결론에서는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관광 어플리케이션 개발 및 마케팅실무에 있어 시사점을 제시하고 한계점 및 향후 과제를 제시하였다.


With increase of consumers using smart phones with diverse usage, various applications are being developed reflecting the consumer trend. Tourism information based on mobile applications, with importance of which as the tourism information media is rapidly increasing, allows the information consumers of potential tourists to use high quality tourism information without temporal or spatial restrictions, thereby granting important significance and value to the information consumers and information providers. This study explored intention to use of tourism storytelling mobile applications, focusing on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AM). The study also identified what influence the use factors of tourism storytelling mobile application have on the perceived ease of use and perceived usefulness. And based on the findings, the study determined the degree of influence on intention to use. The result of the analysis showed that among use factors of tourism storytelling application, educationality, diversity and accessibility had positive impact on perceived ease of use. On perceived usefulness, only educationality had positive impact. In the relation among perceived ease of use, perceived usefulness and intention to use, when the perceived ease of use was higher, it had significantly positive impact on perceived usefulness. Besides, perceived ease of use and perceived usefulness had positive impact on intention to use. In the conclusion, the study suggested implications for developing tourism applications and marketing practices based on the findings, presented limitation of the study and suggested some tasks for future stud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