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기본교육과정 수학과 지도 실태 및 기본교육과정 수학과 지도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파악함으로서 장애아동의 효과적인 수학과 지도전략모색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며, 나아가 장애아동 개개인의 독특한 학습양식이나 인지처리양식에 기반을 둔 수학과 지도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활용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였다. 이에 따라 전국단위의 특수학교에 재직하고 있는 특수교사(N=214)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수학과 기본교육과정 지도에 대한 실태 및 인식을 조사하고, 분석한 결과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기본교육과정 적용학생의 주당 수학과 수업시수는 평균 3~4시간이 가장 많았으며, 다섯 가지 영역 중 교사들은 ‘수’영역을 가장 쉽게 지도할 수 있는 반면 ‘표와 그래프’는 지도하기 가장 어려운 영역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사 중심의 직접교수법을 활용한 개별학습 형태의 수업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지도는 하위 학습목표부터 단계적으로 지도하여 학습목표를 이해시키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었다. 아울러 시각적이거나 운동적인 방법의 단서제공 및 ‘구체물-숫자-수사’의 순으로 이루어지는 수세기 지도가 보통 사용되어지고 있었다. 특히 모든 영역별 지도에 있어서 ‘구체물’을 이용한 ‘교사자작자료’를 가장 많이 활용하고 있었는데, 다양한 보완자료의 부재와 난이도가 고려되지 않은 교재 등의 문제가 제기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구체물, 인쇄매체 및 영상매체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한 보완자료 개발의 필요성을 제시하는 것으로 특히 ‘표와 그래프’영역의 보완자료 개발의 시급함과 개인의 인지수준 및 특성이 고려된 수준별 교재 개발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둘째, 기본교육과정 수학과 지도에 대해 교사들은 전반적으로 부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기본교육과정을 통한 학생들의 평가정보 수집과 보완자료에 있어서 기본교육과정 수학과는 잘 되어 있지 않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초등부 특수교사보다는 중등부 교사가, 기본교육과정 수학과 관련 연수경험이 없는 교사보다는 연수경험이 있는 교사가 더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중등부에 재학 중인 장애학생에게 현행 기본교육과정 수학과 지도는 다소 적절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것으로 중등부 장애학생에게도 적용가능한 적절한 수학과 지도전략 개발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This study is to analyze math teaching implementation and teachers' perception of basic curriculum in special education school for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Through this aims, We can find effective teaching strategies of mathematics and develop instruction program based on unique learning style or cognitive processing style. 214 special education teacher of Pusan metropolitan city and Kyung-Nam province responded questionnaire on teaching implementation and their perception of fundamental curriculum in Math .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Math class was 3-4 hours in average per week to students who need basic curriculum. Teachers easily instruct 'number' one among 5 categories, but hard to teach ‘table and graph’. Also, individualized teaching method based on teacher-centered direct instruction was mostly used, and learning goal on the number was attained using by method of from bottom goal in stepwise through clue suggestion and ‘concrete-number-by hand' visual or kinetic methods. Especially, Teachers often use 'self-made materials by the concrete' in all of categories, but it need to more various supplementary materials and its level accommodation. Second, Teachers' perception were overall negative toward basic curriculum of math. Also, they perceive little satisfaction in collection of evaluation information and supplement through basic curriculum. Both elementary special education teacher and teachers without in-service training experience have more negative perception than them of middle special education or with in-service training experi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