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K대학교의 지적․자폐성 장애학생의 대학입학 지원율의 증가에 따른 선발의 객관성과 공정성 확보를 위해 특수교육대상자 특별전형 실태 및 선발방법 분석을 통한 개선방안을 도출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특수교육대상자 특별전형을 실시하고 있는 국내 대학의 현황, 전형방법(지원 자격, 최저학력기준, 전형평가요소)과 K 대학교의 신입생 장애유형 현황, 지원자 및 합격자의 지역별 현황, 경쟁률 현황, 고교유형별 지원현황, 학급유형별 지원현황, 선발방법 분석, 문제점 및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선발전문가 팀 구성 및 훈련’, ‘직제 및 관련 규정’의 마련, 대학 및 모집학과의 구체적이고 명확한 인재상 확립, 선발 평가요소의 간소화 및 최적화, 입학사정심의를 통한 객관성 및 신뢰성을 확보해야 할 것으로 나타났으며, 구체적으로 첫째, 장애학생의 특성을 고려한 선발철학 및 선발기준 마련, 둘째, 선발에서의 적절한 지원책 마련, 셋째, 관심과 흥미, 재능 등을 고려하여 지원자격의 재정비, 넷째, 선발의 투명성 제고와 그에 따른 명확한 기준 제시, 다섯째, 지원자의 특성을 파악할 수 있는 제출 서류 양식의 개발과 서류평가에 대한 더욱 명확한 기준을 마련해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특수교육대상학생의 특성과 다양성, 고유한 잠재력 등을 고려한 대입전형에서 선발방식의 전환 가져올 것으로 기대하며, 특수교육대상자 특별전형 실시 대학들에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ensure objectivity and fairness of admission by examining the present state and improvement of special admiss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reviewed the related literatures and analyzed the contents. Analysis are as follows: history and present state of higher education students with disabilities, present state of special admiss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of domestic universities, selection method (eligibility, minimum academic standards, assessment methods), in addition to special admiss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of K university.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composition and training of admission officer team, establishment of related to regulations and specific talent type, Simplification and optimization of assessment methods, insurance of the objectivity and reliability through deliberation process of admission officer team. In detail, 1) the assessment criterions b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s prepared. 2) the appropriate support for select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s needed. 3) the admission eligibility by considering the concerns, priorities and gift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s reorganized. 4) the criteria for fairness of special admiss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s presented. 5) the development of the document form for an accurate assessment are required. These results will provide the useful informations to conduct special admission system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universi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