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중도 및 중복장애아동 교과교육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경향과 교사의 변인별 인식, 교과교육에 대한 문제점과 개선방안 및 지원요구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을 조사하여, 효율적인 중도 및 중복장애아동 교과교육 지도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와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부산지역 특수학교 교사 101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본 연구의 목적에 따른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도 및 중복장애아동 교과교육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경향을 알아보기 위해 필요도와 적용도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중도 및 중복장애아동 교과교육에 대해 특수교사가 필요하다고 인식하는 것에 비해 적용하고 있는 정도가 낮게 나타났다. 둘째, 중도 및 중복장애아동 교과교육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의 차이를 교사 변인에 따라 분석한 결과, 소속학교 주 장애에 따라 중도 및 중복장애아동 교과교육에 대한 교사의 필요도와 적용도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지체장애 특수학교의 특수교사가 시각장애 특수학교의 특수교사보다 중도 및 중복장애아동 교과교육에 대해 더 필요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교과교육에 대한 적용도는 특수교사의 소속학교 주 장애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담당학교 급과 특수교육 경력에 따른 중도 및 중복장애아동 교과교육에 대한 특수교사의 필요도와 적용도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도 및 중복장애아동 교과교육의 문제점은 개별지도실시, 기본교육과정 적용에 있어서의 어려움을 가장 많이 인식하고 있으며,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한 개선안이나 지원요구는 중도 및 중복장애아동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 교재교구, 보조기구 개발 및 지원, 정책적 지원 등에 대한 의견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on special education teachers tend to recognize the by variables, curriculum issues and the improvement of education and support needs by examining the recognition of a special education teacher. S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suggesting effective instruction strategies on subject education of student with multiple and severe disabilities and educational foundation for the map data is presented and implications. To this end, this study was investigated 101 teachers working at the special education schools in Busan City. In accordance with the purpose of this study analyzes the results are as follows:First, it comes to significant differences teachers' perception on subject education of student with multiple and severe disabilities.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need to learn to recognize the tendency to help awareness of the difference between applying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omparison showed, compared to wha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at the effect was lower degree. Second, it comes to significant differences teachers' perception in each teacher variables(perception in each kind of disabilities in the teachers' school and subject education)on subject education of student with multiple and severe disabilitie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teachers' perception in others teacher variables on subject education of student with multiple and severe disabilities. Third, to implement the subject education for student with multiple and severe disabilities it is suggested as follows; organizing the practical curriculum considered their characteristics, minimizing the number of students in a class. And there are curriculum education conducted tutoring, basic training in the application and the difficulty of the most recognized, and to address these challenges and support requirements for the improvement of the education for severely handicapped children and redundancy curriculum development, textbook parish, aids the development and support, political support, and has provided feedback 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