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어머니의 출신국가가 취학 전 다문화가정 아동들의 조음음운능력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 지를 규명하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어머니의 출신국가가 베트남, 몽골, 필리핀인, 생활연령 5~6세 아동을 각 출신국가별로 7명씩, 모두 21명을 대상으로 자음정확도와 음운변동 측면에서 조음음운능력을 평가하여 어머니의 출신국가 간에 비교하였다. 아울러 아동의 조음음운능력과 어머니 관련 변인들 간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어머니의 출신국가와 가정 내 언어환경에 따른 취학 전 다문화가정 아동들의 종합적인 자음정확도는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출신국가에 따른 세부적인 음운변동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의 조음음운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상관분석을 통해 살펴본 결과, 아동의 교육기간이 아동의 자음정확도와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다양한 출신국가를 배경으로 하는 다문화가정 아동들의 조음음운능력에 대한 이해와 이들의 조음음운 향상을 위하여 한국어교육지원 등의 재활서비스에 관한 지침을 제공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serve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phonological process by the preschoolers in multicultural families. The mothers came from different nationalities. The total of 21 preschoolers between the age of five and six who are growing in multicultural families of mothers from Vietnam, Mongolia, and the Philippines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the articulation correctness of the preschoolers with mothers of different nationalities, there was not a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ree groups. However, for the phoneme fluctuations, the different results were found with the initial sound omit among the omit phoneme fluctuations in order of Vietnam, Philippines, and Mongolia. Second, the articulation correctness and the phoneme fluctuations among the home environmental factors were observed to be related to the training period of the children. In conclusion, the children did not suggest significant differences for the articulation correctness by the mothers’ nationalities while they did statistically for the phoneme fluctuations. In addition, multicultural children' phonological abilities to improve that provides support and education for the famil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