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에서는 지적장애 및 발달장애 청소년을 대상으로 실시된 전환교육 프로그램의 질적 요소 및 성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2005년부터 2015년 사이에 국내에서 발표된 관련 선행연구 51편을 선정하여 연도별 연구동향과 전환성과 영역을 확인하고, NASET의 전환교육 질적 지표를 통해 프로그램의 질적 구성요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51편의 국내 전환교육 프로그램의 연도별 발표편수 간의 편차는 크지 않았으나 연구대상의 학교 급에서는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가장 많았고 중재특성별 분석에서는 중재자 변인에서 기타 전문가와의 협력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각 프로그램에서 다루어지는 주요한 전환영역은 직업(고용)준비, 자기결정, 대인관계영역으로 나타났으며, 이 세 가지는 2005년 이후 꾸준하게 전환교육 안에서 다루어진 주요한 성과영역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NASET의 질적 지표를 통해 프로그램의 질적 구성요소를 확인한 결과 상당수의 프로그램이 ‘지표 2: 진로준비경험’, ‘지표 3: 청소년발달’을 프로그램의 주요 구성요소로 포함하고 있었으며 반면 ‘지표 1: 학교교육’, ‘지표 4: 가족참여’, ‘지표 5: 전환서비스 활동 간의 연계’를 고려하여 고안된 프로그램의 수는 상대적으로 부족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국내 전환교육프로그램의 대상 및 전환성과 영역 확대, 프로그램 질적 향상을 위한 중앙부처 및 시도교육청의 역할 강화, 지역사회 중심 직무경험을 통한 전환성과 향상 노력, 가족참여 확대 및 기관 간 협력 중진을 통한 프로그램 구성요소 간 불균형 해소, 국내 전환교육 프로그램의 질적 지표 개발 등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quality and outcomes of transition education programs for adolescents with intellectual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along with the relevant research trends. For this purpose, 51 studies regarding transition education programs published from 2005 to 2015 in South Korea were identified and analyzed by using the modified quality indicators of NASET(National Alliance for Secondary Education and Transition) including schooling, career preparatory experiences, youth development, family involvement and connecting activities. The results showed that 39 of programs targeted at high school students with IDD and there was a lack of interagency collaboration. As well, the results indicated that most of transition education programs reflected the second and third indicators(career preparatory experiences and youth development) while programs which considered the other three indicators (schooling, family involvement and connecting activities) were only about one-fifth of a total of the studies. The study provided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with several implications for planning high quality transition programs for adolescents with disabilities such as a) extending scope of target students and outcome areas of transition programs, b) enhancing roles of central and local school districts to provide appropriate transition supports, c) making efforts to improve transition outcomes by providing opportunities of community-based job experiences, d) addressing unbalance in components of transition programs by enhancing family involvement and interagency collaboration, and e) developing quality indicators of transition programs based on Korean situ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