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죽음불안은 일차원적 개념으로 가정되었으나 오늘날에는 다차원적 개념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판 Templer 죽음불안 척도의 요인구조 분석을 통하여 죽음불안이 일차원적 개념인지 다차원적 개념인지 규명하고자 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죽음 자체에 대한 두려움, 죽음 생각의 부인, 짧은 시간 지각, 죽음과 연관된 사건에 대한 두려움 등의 4개 하위 요인이 도출되었고 확인적 요인분석에서도 4요인 구조의 적합도가 높았다. Templer 죽음불안은 일차원적 개념이 아니라 4개의 하위 개념을 포함하는 다차원적 개념으로 시사되었다. 그러나 죽음 생각의 부인과 짧은 시간 지각 등 2, 3 요인은 검사-재검사 신뢰도와 내적 일치도가 낮았다. 또한 문항수가 적고 요인 구조가 불안정하였는 바, 죽음 자체에 대한 두려움, 죽음과 연관된 사건에 대한 두려움 등 요인 1, 4를 중심으로 척도를 이용하는 것이 타당하며 요인 2, 3의 보완이 필요할 것으로 시사되었다.


Although death anxiety were assumed as one-dimensional concept, but currently is accepted as multi-dimensional concep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multi-dimensional or one-dimensional concept though factor structure analysis of K-Templer death anxiety scal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of the Templer death anxiety scale revealed four factors; pure death anxiety, denial of death thinking, awareness of shortness of time, the fear of matters related to death. Even in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fitness of the 4 factor structure was higher than other factor structure. Therefore, K-templer death anxiety scale is suggested that not one-dimensional concept but multi-dimensional concept including sub concept of four. But test-retest reliability and internal consistency of denial of death thinking factor and awareness of shortness of time factor were low. And factor structure of two factors was unstable as well, accordingly suggested that supplementation of these factors are nee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