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휴대전화중독 경향성을 가진 청소년의 심리, 사회 환경적 특성을 판별분석을 통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전체 262명을 대상으로 휴대전화중독지수, 충동성, 부모-자녀 관계, 우울, 공격성, 주의집중 정도를 측정하였다. 분석에 활용한 249명의 휴대전화 중독지수를 기준으로 하여 상위 1 표준편차 이상과 하위 1 표준편차 이하의 집단으로 구분한 결과, 고위험 휴대전화중독 집단이 48명, 저위험 휴대전화 중독 집단이 43명 선정되었다. 총 5개의 변인을 예측변인으로 하여 판별분석을 실시한 결과 충동성, 우울, 주의집중, 공격성이 휴대전화 중독 고위험 집단과 저위험 집단을 유의미하게 판별하였으며, 주위집중 변인이 상대적인 기여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단계적 판별분석을 실시한 결과, 주의집중, 충동성, 우울 이 세 요인으로 이루어진 판별함수가 휴대전화중독 고위험 집단과 저위험 집단을 78% 정확하게 판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충동성, 우울, 공격성 수준이 높고 주의집중에 어려움을 보이는 청소년이 휴대전화 중독 경향성이 높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결과가 청소년의 휴대전화의 중독에 대한 이해와 치료적 개입에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와 추후 연구방향 및 의의가 논의되었다.


The study examined psychological and social characteristics of mobile phone addictive adolescents by conducting discriminant function analysis. A total 249 subjects were surveyed levels of mobile phone addiction, impulsivity, aggression, parent-child relation, depression, and paying attention. High risk group and low risk group were classified as the higher standard deviation 1, 48 students and the lower standard deviation 1, 43 subjects. Discriminant function analysis yielded a function containing 5 variables, then the two groups differed each other in impulsivity, depression, aggression, and paying attention. Stepwise discriminant function analysis yielded only attention, depression and aggression to classifying 78.0% accurately into the high risk group and the low risk group. Finally, results, the understandings of mobile phone addiction, suggestions of how to utilize treatment intervention, and implications we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