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삶의 의미 수준이 자존감, 문제해결 인식도 및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277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PIL(Purpose In Life) 검사, 자존감 척도, 문제 해결 인식도 그리고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척도를 실시하였다. PIL 점수에 의해 높은/ 중간/ 낮은 집단으로 분류하였으며, 자료의 처리는 상관, t-검증, 변량분석 및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PIL과 자존감, 문제해결에 대한 확신, 직면-회피, 자기 통제와는 모두 정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는 모든 변인들이 부적인 상관을 보여주었다. 2)성차를 알아본 결과 PIL, 자존감, 문제 해결에 대한 확신, 직면-회피 및 자기-통제에서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은 수준을 나타냈으며,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에서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은 점수를 보였다. 종교의 유무에서는 PIL 수준과 문제해결의 확신에서 종교를 가지고 있는 학생들이 종교가 없는 학생들에 비하여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3)PIL 수준에 따른 각 변인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PIL 수준이 높을수록 자존감과 문제해결에 대한 확신, 직면-회피 및 자기-통제에서 높은 점수를 나타냈으며,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에서는 낮은 점수를 보고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삶에서 갖게 되는 기대나 목적이 선명할수록 자신에 대한 평가가 긍정적이며 문제 상황에 적극적인 자세를 갖게 됨을 알 수 있다.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undergraduate students purpose in life on self-esteem, problem solving aptitudes and fear of negative evaluation. At the study, 277 students completed four questionnaires; PIL test, self-esteem, problem solving aptitudes & fear of negative evaluation. PIL test if utilized to measure the level of purpose in life and High/Middle/low groups are classified from the result. Correlation, t-test, ONEWAY and Stepwise Regression were applied to analyse the dat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rrelation of the PIL, self esteem and problem solving aptitudes were showed significantly positive but fear of negative evaluation was showed negative correlation with all. Second, the male and female difference in PIL, self-esteem and problem solving aptitudes were showed male students group reported the higher level than female students. At the fear of negative evaluation was showed female group reported the higher level than male. In PIL and problem solving, religious group was higher than irreligious group. Third, the classified groups from PIL level were reported significant differences at the self-esteem, problem solving, fear of negative evaluation. High level of PIL was related to high self-esteem, problem solving subscale and to low fear of negative evaluation. The high group students conceit that good problem solver for oneself. At the result, the specific and concrete purpose can increase of self efficient and more successive resul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