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외상성 뇌손상 환자들의 잔류 인지장애 평가의 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해 임상 현장에서 가장 널리 쓰이고 있는 검사중 하나인 K-MMSE와 K-MAS의 진단 타당도를 분석하였다. 또한 K-MMSE와 K-MAS의 진단능력 차이에 영향을 주는 변인을 알아보기 위해 연령, 교육연한, 뇌손상의 심각도 등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 1에서 피험자는 외상성 뇌손상의 후유장애 판정을 위해 신경정신과를 내원한 7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K-MMSE 점수는 K-MAS와 달리 연령과 학력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K-MMSE는 K-MAS에 비해 뇌손상 진단의 민감도가 떨어졌으며, 연령과 학력을 고려한 절단점수를 적용하여도 민감도의 차이는 유의하게 나타났다. 연구 2에서 뇌손상의 심각도에 따른 두 검사 결과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결과 K-MMSE가 뇌손상의 세 수준(가벼운/중간/심한)을 유의하게 구별해 주는데 반해서, K-MAS는 가벼운 수준의 뇌손상과 중간 이상의 뇌손상만을 유의하게 구별하였다. 그러나 가벼운 수준의 뇌손상 환자들의 K-MMSE 점수의 평균은 뇌손상 판정 절단점수 보다 높게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의 임상적 의의와 제한점이 논의되었다.


This study analyzed diagnostic validity of K-MMSE, one of the most popular evaluation tools in the clinical setting, and K-MAS to investigate the validity of evaluating residual cognitive problems in traumatic brain injury(TBI) patients. To investigate factors affecting diagnostic capacity of K-MMSE and K-MAS, we analyze the influence of age, education level and severity of brain injury. In study 1, participants were 76 traumatic brain injury patients who visited neuropsychiatry to evaluate residual cognitive problem. Results indicated that K-MMSE score was significantly affected by age and education level but K-MAS wasn't. Besides, K-MAS showed higher sensitivity than K-MMSE in diagnosing brain injury. This result still existed after adopting adjusted cut-off score reflecting influence of age and education level. In study 2, we studied differences of test score among 3 different injury severity groups. The result indicated that K-MMSE could significantly discriminate 3 group(mild/moderate/severe) divided by severity of brain injury. But K-MAS could only discriminate between the mild group and the other 2 groups. Mean score of K-MMSE of mild severity group was above cut-off score for diagnosing brain injury. Finally, the clinical implication and limitation of present study we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