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에서는 만성질환 아동 가족의 심리적 적응 과정을 밝힌 McCubbin과 McCubbin(1993)의 매개 모형(mediated model)이 한국의 경우에도 적용이 되는지를 공 변량 구조모형 접근법(covariance structure modeling approach)을 적용하여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모형에서의 가설은 아동의 만성 질환으로 인한 가족 긴장도는 가족의 인지적 평가, 가족 내구력, 사회적지지 및 문제 해결 적 의사소통의 매개를 거쳐 가족 적응을 예언한다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만성 질환 아동을 둔 209가족을 대상으로 가족 내 긴장도, 인지 평가, 가족 내구력, 사회적 지지, 문제 해결을 위한 의사소통, 가족 적응을 측정하기 위하여 설문지 조사 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구조 방정식 모형 접근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되었다. 네 가지 대안 모형들이 제안 및 검증되었으나, 모두 부적합함이 입증됨으로써 가설적 매개 모형을 지지해주었다. 연구 결과는 본 매개 모형이 만성 질환 아동을 둔 가족의 심리적 적응을 설명하는데 적합하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이 논의되었다.


This study verifies that mediated model by McCubbin & McCubbin (1993) can be applied to explain the psychological adaptation process of the Korean families with children of chronic diseases through the covariance structure modeling approach. The hypothesis for this study was that the psychological adaptation of the families with children of chronic diseases can be predicted by mediations of cognitive appraisal, family hardiness, social support and problem solving communication in families. This study employed the method of questionnaires, asking 209 families to mark on the Family Strains Index, Family Appraisal Index, Family Hardiness Index, Social Support Index, Family Problem Solving Communication and Family Attachment & Changeability Index. The results were analys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pproach. Four alternative models were also examined but turned out to be inappropriate, which supported the hypothesis of this study. Study results show that mediated model is appropriate for explaining the psychological adaptation process of families with children of chronic diseases. Finally,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