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mediator effects in the influence of the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on depression. Participants were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Busan, and Gyeonggi in Korea. They completed a package of measures;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scale, self-esteem scale, irrational beliefs test, Korea depression scale. Participants who did not answer any questionnaire were excluded from the analysis. The final sample size was 339. Female adolescents scored higher on depression and male adolescents scored higher on self-esteem. This study showed that self-esteem and irrational beliefs had a mediating effect between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and depression, although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didn't have an direct effect on depression. This result suggest that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influence depression through self-esteem and irrational beliefs. The self-esteem was the most significant means of predicting adolescent depression. Finally, Implications,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the future study were discussed.


이 연구의 목적은 부모-청소년 의사소통이 청소년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것이다. 그리고 부모-청소년 의사소통이 우울에 영향을 미칠 때 자아존중감과 비합리적 신념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밝히는 것이다. 참가자들은 경기, 부산, 서울의 고등학생이고 부모-청소년 의사소통 척도, 자아존중감 척도, 비합리적 신념척도, 한국우울척도(KDS) 등을 실시하였다. 질문지에 성실하게 응답하지 않은 참가자는 분석에서 제외하였고 최종 실험참가인원 339명이었다. 우울은 여자청소년보다 남자청소년이 낮게 나타났고 자아존중감은 남자청소년이 여자청소년보다 높게 나타났다. 자아존중감은 부모-청소년 의사소통이 우울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다. 부모-청소년 의사소통이 우울에 영향을 미칠 때 자아존중감과 비합리적 신념이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부모-청소년 의사소통은 자아존중감과 비합리적 신념에 영향을 주고 자아존중감과 비합리적 신념은 청소년의 우울에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부모-청소년 의사소통이 청소년우울을 미치는 과정에서 비합리적 신념보다 자아존중감이 더 중요한 매개요인이었다. 마지막으로 장래연구를 위한 이 연구의 의미와 제한점을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