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초기의 적응 모델들이 결핍이나 장애에 초점을 맞추었으나 환경 결핍에도 불구하고 정서적, 심리적 문제를 발전시키지 않는 사람들에 관한 연구결과들이 발표되면서 적응유연성 패러다임이 각광받고 있다. 적응 유연성은 스트레스 상황에서조차 영향을 거의 받지 않거나 덜 영향을 받으며, 적절히 대처함으로써 스트레스를 현저히 낮출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본 연구에서는 적응 유연성에 초점을 맞추어 심리적 고통감을 많이 느끼지만 사회적응을 잘 유지하고 있는 적응유연 성향자의 무의식적 및 의식적 대응기제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여자 대학생 총 222명을 대상으로 하여, 심리적 고통감이 높은 사람들 중 적응을 잘하는 사람들을 적응유연 집단, 적응을 잘 하지 못하는 사람들을 적응곤란 집단으로 구분하고, 이들의 무의식적 대응기제인 방어기제와 의식적인 기제인 대처전략 점수를 비교하였다. 결과에 의하면, 심리적 고통감이 높은 사람들은 적응 유무에 상관없이 미성숙 및 신경증적 방어기제를 많이 사용하였다. 그러나 적응유연 집단은 자아도취적이거나 성숙한 기제를 주로 사용하며, 대처전략에 있어서 문제해결적인 방법이나 조력추구 방법을 주로 사용하는 반면, 적응곤란 집단은 신경증적 방어기제와 정서완화적 대처전략을 주로 사용하는 등의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의 제한점 및 의의에 대해 논의하였다.


Early adjustment models had focused on deficiency or disorders. Recently, many researchers take a growing interest in resilience paradigm about people who do not develop emotional and psychological problems in spite of the environmental deficiencies. Adaptive resilience can be defined as a ability not to be influenced by stressful circumstances, and to reduce stress level remarkably. This study focused on the resilience and investigated the unconscious and conscious reactive mechanism characteristics of resilient people who maintain social adaptation with all psychological distresses. Total 222 female college students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Among people with high psychological distress, adaptive people were categorized as resilient group and non-adaptive people were vulnerable group. Their defense mechanism as unconscious reactive mechanism and coping strategy as conscious mechanism were statistically analyzed. Result showed that people with high distress use more immature and neurotic defense regardless of adjustment level. But resilient group use more narcissistic and mature defense and problem-solving and social support coping, while vulnerable group use more neurotic defense and emotion focused coping. Finally, the limitation and implication of this study we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