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아동기 정서적 외상과 역기능적 분노간의 관계에서, 불안정 애착과 초기부적응 도식의 매개효과를 탐색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319명의 남, 녀 대학생이었고, 측정도구로는 정서적 외상 질문지, 성인 애착 질문지, 도식 질문지 및 역기능적 분노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가설적 모형이 제시되었고,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통해 모형의 타당성을 통계적으로 검증하였다. 그 결과, 불안정 애착과 도식이 순차적으로 정서적 외상과 역기능적 분노 사이를 매개할 것이라는 가설적 모형이 타당한 것으로 검증되었다. 따라서, 치료과정에서 역기능적 분노문제 및 그와 관련된 정서적 외상을 다룰 때에는 안정애착의 요소들과 개인이 보유하고 있는 도식들을 동시에 고려한 치료모형이 필요할 것으로 가정할 수 있다.


The present study proposed a mediation model in which insecure attachment and early maladaptive schemas would play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trauma and dysfunctional anger. A total of 319 undergraduate students completed questionnaires on: childhood trauma questionnaire, adult attachment questionnaire, early maladaptive schema and state-trait anger expression inventory-Korean version: STAXI-K).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s a result, which means the effect of childhood emotional trauma on early maladaptive schemas is mediated by insecure attachment and the effect of insecure attachment on dysfunctional anger is mediated by early maladaptive schemas. Therefore, it would seem that the model that deals with elements of secure attachment, schema and childhood emotional trauma all together is useful for dysfunctional anger approach,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can be: the true source of dysfunctional anger would be not a current stimulus, but the effect of interaction that current stimulus and traumatic event in store to various memory representations of the pa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