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영적 안녕이 심리적 안녕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 탐색하여 상담 및 심리치료 전문가들에게 내담자의 영적 상태를 어느 정도 고려해야 하는지를 비롯해 영적 안녕에 대한 이해와 돌봄을 위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남녀 대학생 667명(남:320, 여:347)이었으며, 이들의 연령 분포는 만 19세에서 30세(M=22.33, SD=2.21) 사이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심리검사는 한국판 영적 안녕 척도와 심리적 안녕 척도이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성차에 따른 영적 안녕, 심리적 안녕 수준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하위요인 비교에서 여학생은 남학생보다 종교적 안녕 수준이 높게 나타났고, 남학생은 여학생보다 자율성과 환경에 대한 통제력 수준이 더 높게 나타났다. 영적 안녕은 심리적 안녕과 그 모든 하위 영역과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었다. 영적안녕의 하위요인인 실존적 안녕, 종교적 안녕은 심리적 안녕과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관계를 나타냈다. 실존적 안녕은 심리적 안녕의 모든 하위영역과 상관이 있었으나, 종교적 안녕과 자율성은 상관이 없었다. 이러한 관계를 보다 자세히 고찰하고자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실존적 안녕으로 보정되었을 때 종교적 안녕이 높을수록 자율성, 환경에 대한 통제력, 자아수용 및 삶의 목적 수준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와 관련하여 종교적 안녕에서 실존적 요소를 제거하여 심리적 안녕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가능성에 관해 선행연구들에 비추어 논의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임상 장면에서 종교를 가진 내담자나 종교성을 지닌 내담자의 심리적 안녕을 돕기 위해 자율성과 관련된 심리적 안녕 특성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 of spiritual well-being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Korean college student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importance of clients' spirituality in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The participants were 667 Korean college students (320 males and 347 females), ages ranged from 19 to 30 (M=22.33, SD=2.21). The psychological tests used in this research are the followings: the Korean version of the Spiritual Well-Being Scale and the Psychological Well-Being Scale. In the results, female students showed higher score of spiritual well-being than male students, and male students showed higher score of autonomy, environmental mastery than female students. The score of psychological well-being was found to be higher as the age and economic level of participants. Correlational analysis revealed that Spiritual well-being is positively related to psychological well-being and psychological sub-factors of well-being, and existential well-being is positively related to all psychological sub-factor well-being, and religious well-being is not necessarily related to autonomy. To contemplate over the study, stepwise regression is used. It revealed as religious well-being score gets higher, the scores of autonomy, environmental mastery, self acceptance, purpose in life of college students decrease if it was adjusted by existential well-being. The result agrees with previous studies that the religious well-being is negatively related to the psychological well-being as adjusted by existential well-being. These findings indicate the importance of spiritual well-being to help clients who are religious and have religion in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The mental health practitioners are suggested to be concerned about the psychological trait of clients especially when they deal with autonomy of cli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