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삶의 의미, 자존감, 대인관계, 사회적 지지 및 정신건강의 관계를 알아보고, 삶의 의미 수준에 따라 자존감, 대인관계, 사회적 지지 및 정신건강이 어떻게 다른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632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삶의 의미, 자존감, 대인관계에서의 회피와 불편감, 지각된 사회적 지지 및 정신건강 척도를 실시하였다. 삶의 의미 척도 점수를 통해 높은/중간/낮은 집단으로 분류한 후, 각 심리적 변인들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삶의 의미 수준이 높을수록, 자존감, 정신건강 및 지각된 사회적 지지가 높았으며, 대인관계에서의 불편감과 회피 수준은 낮은 것으로 드러났다. 아울러 삶의 의미, 자존감, 정신건강 및 사회적 지지는 정적 상관, 대인관계에서의 회피와 불편에서는 모든 변인들이 부적인 상관을 보였다. 자존감, 정신건강, 사회적 회피와 불편감 변인이 삶의 의미를 설명하는 변량이 60.4%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시사점이 논의되었다.


The current study aim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the meaning of life, self-esteem, interpersonal relation, social support and mental heal, and identify differences of self-esteem, interpersonal relation, social support and mental heal according to meaning of life level. At this study, 632 students completed five questionnaires; purpose in life(PIL), self-esteem, Social Avoidance and Distress Scale, social support and mental heal. PIL test if utilized to measure the level of purpose in life and High/Middle/Low groups are classified from the sc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High level of purpose of life was related to high self-esteem, mental health, social support and to low social avoidance and distress. The correlation of the purpose of life, self esteem, mental health and social support were showed significantly positive but social avoidance and distress was showed negative correlation with all. Self-esteem, interpersonal relation, social support and mental heal was accounting for 60.4% of the variance in the purpose in life.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directions of future study we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