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In the present study, we made several necessary improvements of the Knowledge of Evidence-Based Services Questionnaire (KEBSQ)— a measure designed for measure Evidence-Based Practice (EBP) knowledge across various youth problem areas. First, we identified the presence of “bad” items that need to be discarded. Second, we identified the presence of two distinct KEBSQ item types: (1) items associated with “high coverage” and (2) items associated with “low coverage”. Results based o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internal consistency estimates clearly showed that these “low coverage” and “high coverage” items have unique properties and should not be combined together to form a total score. Instead, their contrasting properties suggest that “low coverage” and “high coverage” items should comprise of two different versions of the KEBSQ tests. We also significantly reduced the length of KEBSQ by eliminating the “bad” items which create two separate 12-item and 18-item tests to assess knowledge on “low coverage” and “high coverage” treatment practices, respectively. Study implications and additional necessary research efforts are also discussed.


본 연구는 다양한 영역 소아문제의 근거기반치료에 대한 지식을 측정하는 근거기반서비스 지식 평가지(KEBSQ)의 개선을 위한 작업이다. 먼저 삭제가 필요한 문항들을 선별하였으며, KEBSQ를 두 유형으로 분리하였다. 이렇게 분리된 두 유형은 (1) '범용' 문항과 (2) '특수 목적용' 문항으로 분류되었다.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내적합치도의 분석결과 이 '범용'과 '특수 목적용' 문항들은 별개의 기능을 하고 있어서 하나의 총점으로 통합하는 것이 적절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대안으로, 이 두 문항군들은 KEBSQ를 구성하는 별도의 두 검사로 존재하는 것이 타당하다는 결론을 얻게 되었다. 이에 더하여 문항의 역할이 부족한 것으로 분석된 일부 문항들을 제거한 결과 '범용' 문항 18개, '특수 목적용' 문항 12개가 최종적으로 남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