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정서조절 곤란이 걱정에 영향을 미치는 기제에서 경험적 회피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과 수도권의 대학생 530명에게 걱정 질문지,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부족 척도, 한국판 정서조절곤란 척도, 수용-행위 질문지 II를 실시하였다. 먼저 각 변인 간 상관관계를 알아보았고,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정서조절 곤란이 걱정에 미치는 효과의 정도를 알아보았다. 다음으로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정서조절 곤란이 경험적 회피를 매개로 하여 걱정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 가정하고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각 변인 간 유의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으며,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정서조절 곤란 모두 걱정증상을 유의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정서조절 곤란 모두 걱정으로 가는 직접 효과와 경험적 회피의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는 걱정에 대한 경험적 회피의 역할을 확인함으로써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정서조절 곤란이 걱정에 이르는 과정을 세부적으로 밝혔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이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verify the roles of experiential avoidance as a mediating variable between emotional dysregulation,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worrying. A total of 530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have completed the intolerance of uncertainty scale (IUS), Korean version on difficulties of emotional regulation scale (K-DERS), Acceptance and Action Questionnaire II (AAQ-II), and Penn State Worry Questionnaire (PSWQ). First, the correlation between intolerance of uncertainty, emotional dysregulation and experiential avoidance were being investigated. We also examined the unique effects for intolerances of uncertainty, and emotional dysregulations of worrying. Next, we verified the assumption that the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emotional dysregulations should have positively direct effects on worrying as well as through the mediating effects of experiential avoidance, where the data are analyzed by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results indicate the following: first, all the variances show positive correlations to each other. And, both the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emotional dysregulation significantly predicted worrying. Next,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emotional dysregulation both showed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n worrying. This study discovers how the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emotional dysregulation lead to worrying in detail by identifying the roles of experiential avoidance.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discussed for future research direc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