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내현적 자기애, 경험회피 및 SNS 중독경향성 간의 관계를 탐색하고, 내현적 자기애와SNS 중독경향성 간의 관계에서 경험회피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342명(남: 139, 여: 203)의 성인이고, 이들의 평균 연령은 25.45세였다. 본 연구에서는강선희와 정남운의 내현적 자기애 척도, 수용행동질문지(AAQ-16)와 정소영과 김종남의 SNS 중독경향성 척도를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여성이 남성보다 경험회피를 더 많이 하고 SNS에 중독되는 경향성도 강했다. 내현적 자기애와 경험회피 간에는 정적 상관이 있었으며, 내현적 자기애와경험회피는 SNS 중독경향성과 정적 상관을 보였다. 위계적 회귀분석과 Sobel검증에서는 경험회피가 내현적 자기애와 SNS 중독경향성 간의 관계를 부분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계적 회귀분석에서는 내현적 자기애 하위요인 중에 착취와 자기중심성이 SNS 중독경향성을 가장잘 설명하였으며, 내현적 자기애에 더해 전념행동의 추가 설명력도 유의하였다. 내현적 자기애와경험회피의 부정적 영향에 관해서는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논의하고 추후연구의 방향과 내현적자기애에 대한 수용전념치료나 인지행동적 접근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1)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covert narcissism, experiential avoidance, and SNS addiction proneness, and 2)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experiential avoidance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SNS addiction proneness. A total of 342 adults (139 males and 203 female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ir average of age was 25.45 years. Psychological tests used in this study included the following: Gang and Chung’s Covert Narcissism Scale, Acceptance and Action Questionnaire-16 (AAQ-16), and Jung and Kim’s SNS Addiction Proneness Scale. Our results indicated that females were more likely to show experiential avoidance and SNS addiction proneness. Covert narcissism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experiential avoidance, while covert narcissism and experiential avoidance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SNS addiction pronenes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nd Sobel test revealed that experiential avoidance partially mediated covert narcissism and SNS addiction proneness.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among the factor of covert narcissism, exploitation/ego-centrism accounted for most variance of SNS addiction proneness. Additional accountability of commitment behavior was significant. The negative effects of covert narcissism and experiential avoidance were discussed and compared to previous studies. The directions for further studies are discussed. Acceptance commitment therapy and cognitive behavioral approaches are recommended for covert narcissis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