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초등학교 경제 수업에서 경제적 사고력 증진을 위해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스토리텔링 기반 학습 모형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스토리텔링 기반 경제학습의 제반 이론을 탐색하여 모형의 기본 틀을 구안하였으며, 초등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기초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구안된모형의 틀과 기초 설문조사의 결과를 바탕으로 스토리텔링 기반의 경제 수업 모형을 개발하였으며, 이렇게 만들어진 초기 모형은 속성원형법에 따라 수업 적용을 통하여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를 반영하여 최종적인 모형으로 완성되었다. 마지막으로 모형의 타당화를 위해 완성된 모형을 실제 수업에 투입하고 그효과와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모형은 탐색 지향적 스토리 구성의 단계, 비구조적 스토리 완성의 단계, 스토리의 주제 중심 정교화 단계, 학습 지향적 스토리 구성의 단계, 구조적 스토리 구성의 단계, 스토리 관련 정보 수집과 판별의 단계, 환경 설정의 단계, 주요 사건 설정의 단계, 캐릭터 설정의 단계, 플롯 설정의 단계, 표현 및 성찰의 단계로 구성된다. 모형이 적용된 수업에 대한 양적, 질적 검증 결과, 내용 이해와 경제적 사고력, 경제적 생활 습관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제언을 통해 경제적 사고력증진을 위한 모형의 활용 전략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n Storytelling-Based Learning Model for economy instruction and examine the practical usability of the model in elementary school. The model was developed based on the following stages. At the beginning stage, this study reviewed existing researches on storytelling-based economy learning and then design the alpha protypes of model using rapid prototyping methodology.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74elementary school teachers to collect data to establish basic principles which facilitates the practical usability of the model. Through the extensive literature reviews and survey study, a basic storytelling-based learning model was developed. The model consists of three stages:context-adapted story construction, concept-centered story construction, life-oriented story construction. Each stage has several sub-stages:an exploratory story planning, an unstructured story completion, theme-based story elaboration for contextadapted story construction stage;learning-oriented story analysis, structured story construction,collecting and discriminating the story-related information for concept-centered story construction stage;setting the context, setting the main events, setting the character, setting the plot,externalization and reflection for life-oriented story construction stage. The study evaluated the model using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o test the validity and the usability in terms of its effectiveness and also reveals some limitations. The limitations and related suggestions we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