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의 목적은 내부고발 정책 네트워크 참여자 간 정보 영향과 의존의 인지 구조, 개별 참여자의 정보 이용, 인식을 밝히는 것이었다. 이러한 목적의 달성을 위하여, 네트워크 참여자 간의 영향 및 의존 관계의 구조는 무엇인가, 어떤 형태의 정보를 선호하는가? 등의 연구 문제를 검토하였다. 네트워크 주요 참여자 12곳을 선정한 후, 이들을 대상으로, 내부고발 정책 관련 업무를 맡고 있는 실무자를 3명씩 추천받아, 네트워크 전체의 구조적 속성과 부문 및 개별 참여자의 출처별 정보 선호, 인식을 분석하였다. 자료수집에는 설문조사를 이용하였고, 총36명으로부터 응답을 받아 분석하였다. 네트워크 전체의 구조에 대하여는 사회연결망 분석 (SNA)으로 지도를 작성하고, 속성을 추정하였다. 분석 결과, 네트워크는 국민권익위원회와 공익제보자모임이 중심이고, 다른 참여자들은 중심과 외곽의 구조인 것으로 나타났다. 부문 및 개별 참여자 간 의미있는 정보 영향 및 의존의 패턴은 관찰되지 않았다. 기타 네트워크 부문 및 개별 참여자의 정보 이용과 인식은 SPSS를 사용하여 분석되었다. 이 연구는 네트워크 분석 기법을 도입함으로써 내부고발에 관한 기존의 법률이나 정책 내용 중심의 연구를 네트워크 구조와 주요 참여자들 상호간의 정보 교환 관계에까지 확장한다는 의미를 갖는다. 하지만 표본의 규모가 충분히 크지 못하여, 일반화의 제약을 허용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연구 결과는 정책 네트워크 참여자 간의 정보 영향과 의존, 이용과 인식에 대한 이해를 개선하고, 차후 권력관계, 전략, 경쟁과 협력 등의 연구를 위한 기초 정보가 될 것이다.


This research paper aimed to explore the perceptual structure of the whistleblowing policy network, seeking answers to three questions about information exchanges between 12 policy actors within the network. The research questions asked: What are the structural features of influence and dependence that exist in the exchange relationship of information? What types of information resources does each of the actors prefer to use? What attitudes does each of the actors have toward controversial policy issues in whistleblower protection? To answer the questions, the research focused on an analysis of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network, including network density, centralization, core/periphery, and individual actor position. Using a survey questionnaire, 36 responses, 3 from each of 12 network participants who were identified as involved in whistleblower protections, were received. To map the structure of information exchange network between the participants within the network, Social Network Analysis (SNA; NetMiner 4) was employed. This analysis is important in terms of extending existing research concerning whistle blowing to its policy formation and implementation processes by application of SNA. The small sample size of this study, however, may introduce potential risk of error in expla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12 policy actors. The results will allow practitioners to understand the structure of whistle blowing information exchanges between policy actors in South Korea bet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