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일탈행위를 한 기관장이 가지고 있는 개인의 인성에 따라 조직의 효율성은 상이하게 나타날 것이라는데 착안한 것이다. 이를 분석하기 위해 지각하는 교사를 둔 학교장의 성격과 리더십을 파악하고, 학교조직 효율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학교조직의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는 방안과 효과적인 학교조직의 운영을 위한 기반 마련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연구문제는 첫째, 초등학교장의 성격유형별 교사가 지각한 초등학교장의 리더십은 어떠한가? 둘째, 교사가 지각한 초등학교장의 성격유형과 리더십유형이 학교조직의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셋째, 교사가 지각한 초등학교장의 성격 및 리더십유형과 학교조직의 효과성 간 관계는 어떠한가? 이다. 분석을 위해 서울․경기지역 소재 초등학교 교사 47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일부 선행연구 결과와 상이한 부분도 있지만 성격유형과 리더십유형에 따라 조직효과성에 관계가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성격 유형별로 리더십이 조직효과성에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검증하였다. 즉, 성격유형별 감각감정형, 감각사고형, 직관사고형, 직관감정형 4개의 성격유형 모두 변혁적 리더십과 서번트 리더십에서 학교조직 효과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제언으로 첫째, 자기기입식의 조사방법은 초등학교장의 성격유형과 리더십에 대한 평가가 교사의 주관적인 판단이 개입될 수 있으므로 계량화 또는 객관적인 성과변수를 고려하여 분석할 필요가 있다. 둘째, 초등학교장의 성격과 리더십, 학교조직 효과성을 교사가 지각하는 바에만 의존하면 결과가 과장되거나 왜곡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학교장과 교사 간의 상호작용 및 현장 관찰, 심층면담 등의 방법을 통한 질적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MBTI 외의 다른 성격 유형, 서번트․변혁적 리더십 외의 다른 리더십유형 등이 학교조직 효과성에 직접인 인과관계를 가지는지에 대한 실증연구와 학교조직 효과성의 준거로 학생들의 학교생활 만족도, 학업성취도, 학교운영위원회의 참여도 등을 포함시켜 연구의 범위를 확대시킬 필요가 있다.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propose necessary measures to improve the school administration efficiency by examining a principal’s personality and leadership identified by fellow teachers and analyzing the two elements’ effects on the efficiency. In an effort to achieve the goal, this paper raises three major questions; how do elementary-school teachers identify leadership styles of their principals with each personality type?; what effects do their personality types and leadership styles have on the school management efficiency; how are the two factors related to the efficiency?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via mail to 470 elementary-school teachers in Seoul and Gyeongi Province. 422 of the collected data were eventually analyzed. The results are as below. The fact that characteristics and leadership types related effectiveness of school organization were identified. Leadership by characteristic types affects effectiveness of school organization as well. In other words, sense feeling type, sense thinking type, intuition thinking type, intuition feeling was a positive influence to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servant leadership. By suggestion, that needs to be analysed in a quantification and consider to objective outcome variables. There needs to be qualitative approach through interaction between principal and teachers, field observation, in-depth interview etc. It is necessary that we consider other leadership type and include the satisfaction of school life, achievement, school steering committee participation rate in effectiveness of school organiz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