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제도적 아노미 이론은 거시적 수준에서 문화와 사회구조의 영향을 동시에 고려하며 범죄현상을 설명한다는 점에서 가장 사회학적 원칙에 충실한 범죄학 이론이라고 할 수 있다. 이론모형을 분석해보면 이 이론은 아노미이론과 사회통제이론을 통합한 이론으로 평가된다. 뒤르케임의 이론을 같은 뿌리로 공유하면서도 다른 진영으로 갈라져왔던 아노미이론과 사회통제이론을 발전적으로 통합했다는 이론적 가치를 갖는다. 이론통합의 전략은 머튼의 아노미이론에서 불평등구조를 배제하고 대신 제도적 짜임새라는 개념을 사회구조의 차원으로 대체함으로써 사회통제이론을 포섭하는 것이다. 불평등구조는 머튼의 이론이 맑스주의적 색채를 갖는다는 평가의 주요 근거가 되었다. 따라서 제도적 아노미이론은 머튼의 이론에 비해서 훨씬 더 기능주의 패러다임에 충실한 이론이 되었다고 볼 수 있다. 불평등구조를 배제했다는 점에서 비판의 대상이 되기도 하지만, 아노미이론의 논리 구조를 분석해보면 불평등구조는 불필요할 뿐만 아니라 오히려 이론의 논리적 일관성을 해치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불평등구조를 아노미이론의 틀에 가두지 말고, 갈등주의 범죄학을 포함한 다양한 이론적 관점에서 그 효과를 분석하는 것이 더 나을 것이다.


Institutional-Anomie Theory incorporates culture and social structure together into its theoretical model and explains crime at macro level. In that sense this model is very sociological. This model integrates anomie theory and social control theory which have been separated even though they share a same Durkheimian root. Specifically, Institutional-Anomie Theory integrates the elements of social control into anomie model by replacing inequality structure with the concept of institutional arrangement. Because of the emphasis on inequality structure, Merton’s anomie theory has been regarded as having Marxist orientation. Therefore, Institutional-Anomie Theory is more oriented to functionalist paradigm than Merton’s theory is. It is criticized for the absence of inequality structure in the theoretical model. But inequality structure is not only unnecessary but logically inconsistent element in anomie theory model. The effect of inequality structure might be explained by other theoretical viewpoints such as conflict theories. However, Institutional-Anomie Theory criticizes capitalist society more severely than anomie theory does. By doing so, it still retains the elements of conflict paradigm in its functionalist mod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