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은 한국사회의 급속한 경제성장 배후에 감춰진 후진적이고 비민주주의적인 문화적 행태를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한국인의 일상적인 생활, 특히 의사소통과 공동체 생활 그리고 사태인식에서 나타나는 즉물(卽物)적인 성향을 지적하면서 이러한성향이 한국사회에 급작스럽게 출현한 것이 아니라 한국의 전통적인 사유와 맥을 같이 하고 있다는 사실을 이 글은 밝힌다. 현대 한국사회의 일상 곳곳에서 드러나고 있는 부조리한 행태는 합리성과 객관성을 결여한 자기 신체이익 중심주의와 비매개적인 감각주의와 깊이 연관되어 있는데, 이는 서양의 플라톤이후 로고스 중심의 합리적이고 매개적인 사유와 대조를 이룬다. 한국사회가 세계의 중심문화와 호흡을 같이 하기 위해서는그간의 물질적 성장에 비해 턱없이 뒤쳐져 있는 문화의식을 제고해야 하며, 이를 위해 무엇보다 일상의 한국인이 사태와 관계하는 데에서 즉물적인 태도를 지양하지 않으면 안 된다.


This study critically explores the less advanced and less democratic cultural behaviors, veiled behind the fast economic development of Korean society. As pointing out their tendency of the immediate materialism, a kind of Philistinism appeared within their daily routine life, in particular throughout their communication,community life and their factual awareness. The study argues that this tendency is not the one that emerged by sudden, but is rooted from the traditional thinking. Those irrational behaviors rampant throughout the Koreans’ life are strongly related with the selfphysical-lust centrism lack of rationality and objectivity and the nonparametric sensationalism and this is contrasted with the rational parametric thinking of Western civilization centered around ‘logos’since Plato. For upgrading Korean cultural and spiritual foundation, Koreans are needed to improve the cultural awareness far left behind the material expansion so far, and for this, as the initial and primary step, Koreans ought to reject their deep rooted immediate materialism in the way of relation toward the outer and inner world events emerging from their daily routine lif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