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한국노동패널 데이터를 사용하여 우리나라의 세대간 장기임금 소득탄력성을 최초로 추정하였다. 본 연구는 측정오차문헌에서 발전된 소득 변수의 평균회귀측정오차 문제를 직접적으로 고려해 소득탄력성의 추정정확도를 높였다. 추정된 세대간 장기임금소득탄력성은 0.3 근방으로 선행연구가 집중된 미국에 비해 낮게 나타나 세대간 소득이동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추정된다. 사회의 건전도를 측정하는 주요 지표로서의 세대간 소득탄력성의 최초추정연구라는 공헌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미국등의 선행자료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게 축적된 패널기간, 외환위기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은 1990년대 후반의 부모세대 소득분포 사용, 작은 표본가구수 측면에서 잠재적인 한계를 가진다.


This study estimates the intergenerational income elasticity of Korea. New corrections including bounding parameter estimates are adopted for well-known errors-in-variable bias in the literature and the resulting estimate is about 0.3. Even though the estimated intergenerational income elasticities are less than the US estimates (0.4 or more), they still show a substantial intergenerational income association in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