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한국의 가계저축률은 2000년대 들어 대폭 낮아진 반면, 기업저축률은 선진국 수준을 능가할 정도로 크게 높아졌다. 이에 따라 전통적으로 자금의 공급자로서의 가계와 수요자로서의 기업의 위상이 흔들리고 있다. 또한 소득이 기업부문에서 가계부문으로 원활히 순환되지 않아 내수부진과 경기둔화의 원인이 되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최근 정부가 기업소득환류 세제를 도입한 것은 이와 일맥상통한다. 반면, 기업의 모든 지분은 가계가 갖고 있으므로, 기업저축이 증가하면 가계의 순자산이 증가하고 이에 따라 소비증가 및 저축감소가 나타나는 것은 자연스러운 현상이라는 견해도 있다. 본고는 기업저축과 가계저축간의 대체성에 대한 실증분석을 통하여 기업저축 증가의 경제적 의미와 기업소득환류 정책의 타당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1993년부터 2012년 기간 중 분기별 자료를 확충하고, 이를 이용하여 민간저축률 및 기업 저축률 결정 모형을 GMM 방법을 통하여 추정하였다. 그 결과 한국의 경우 가계저축과 기업저축 간의 대체관계는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기업 및 가계의 저축 결정에 있어서 구조적 변화가 발생하여 기업저축률과 가계저축률 간 대체성이 더욱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가계저축의 감소를 수반하는 기업저축의 증가가 자연스런 현상이라는 주장은 근거가 미흡하며, 한국경제의 성장잠재력이 낮아지고 있음을 보여주는 징후라는 주장이 더 설득력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Korea's corporate saving rate substantially increased since the early 2000s, while household saving rate sharply fell after the 1997 Asian financial crisis. As a result, the traditional role of the corporate sector as the borrower and that of the household as the lender are changing. The recent increase in corporate saving is neither unprecedented, nor unique to Korea. Nevertheless, it remains unanswered what its causes and implications are in the context of prolonged economic recession. Our paper aims to examine whether the piercing-the-corporate-veil hypothesis holds in Korea. We have constructed the quarterly data of corporate and household saving rates and measured the degree of substitution between corporate and household savings. Our empirical analysis for the period between 1993: I and 2012: IV, based on the generalized method of moments, shows that the corporate saving does not substitute for household saving. In particular, the evidence for “no substitution” is stronger for the post 2008-period, possibly due to a structural change caused by the global financial crisis. The policy implication of our study is straightforward. A higher tax on retained earnings may be justified in that it is likely to increase the aggregate demand through higher wages and dividends. A surge in corporate saving is a warning sign of a long-run slowdown of economic growth. Moreover, it reflects the shrinking of labor income share in national income because of a structural change in the labor market. In this respect, a relatively new phenomenon of “growth without employment” needs due attention in explaining why Korea’s corporate saving rate has increa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