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의 목적은 구성주의적 안보공동체론의 시각에 입각하여 동북아 지역의 다자안보 협력 현황을 평가하고 동북아 지역이 안보공동체로 이행되기 위해서는 우선 전략적으로 어떤 점에 초점을 맞추어야 하고 그 논리적 근거는 무엇인지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이 논문은 우선 지역 안보공동체의 의미와 안보공동체 분석을 위해 ‘힘’과 지식, 거래, 국제기구 및 제도, 사회적 학습, 신뢰, 정체성 등의 변수를 소개하고, 이를 바탕으로 안보공동체의 발전단계를 초기도약성숙단계로 나누어 고찰한다. 이러한 이론을 동북아에 적용해 보면 동북아는 안보공동체의 초기단계에도 진입하지 못한 상태이다. 따라서 초기단계의 진입을 위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역내 다자안보 기구 또는 제도의 설립을 위해 노력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거래와 학습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동북아시아는 아직 안보공동체의 초기단계에도 진입하지 못한 상태이기 때문에 이 논의는 시론적 성격을 띤다고 하겠다.


This study attempts to evaluate multilateral security cooperation in Northeast Asia, using a constructivist approach. For this purpose, it reviews the concept of regional security community and the conceptual foundations such as 1) the precipitating conditions, 2) material power and knowledge, 3) social processes defined by organizations, transactions, and social learning, and 4) mutual trust and collective identity formation. In the next section, it takes another step toward a viable research program by offering a framework of three phases in the development of a security community. This study applies the security community theory to the Northeast Asia which has not still entered a nascent phase. For a security community to be approached, efforts are requested to establish organizations or institutions for security cooperation at the present stage in which transactions and social learning play important ro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