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은 구성주의가 안보학에 분석적으로 ‘현실적’인 시각을 제시하고, 변화하는 국제안보환경 그리고 이에 대응해야 하는 안보정책의 측면에서 실용적인 이론임을 논의할 것이다. 안보학이 전쟁의 발생과 방지 그리고 평화의 유지를 설명하고 처방하는 존재적 목적을 가지고 있다고 볼 때 구성주의가 이에 얼마나 부합하는지 확인하는 작업이 바로 이 논문의 목적이다. 구성주의는 기존의 국제정치 물질관에 행위자의 관념과 관계적 정체성 그리고 집단 정체성의 설명적 생명력을 강화시킴으로써 비판적 대안 설명을 제시할 수 있었다. 그렇다면 이 구성주의가 안보학에 얼마나 적용 가능한가는 고찰과 검증의 대상이 되어야 하는 것이지 배제의 대상이 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안보와 위협은 행위자간 관계의 속성, 그리고 이들이 형성하는 구조의 속성에 따라 가변적일 수 있다. 위협을 인식하는 행위자의 세계관과 그 세계관이 인식하는 구조는 국가의 안보환경을 구성하는데 영향을 미친다. 물질적 결정론에 입각한 안보학은 다소 정태적일 수 있지만, 구성주의가 중요시 여기는 관념적 변수는 안보와 위협인식의 가변적 상황에 역동적인 설명을 제시 할 수 있다. 이것이 바로 구성주의가 안보학에 제공할 수 있는 분석적, 현실적 공헌이다.


This article argues that constructivism provides more realistic perspective to Security studies in terms of analyzing dynamic environment of international politics. Quite contrary to the conventional wisdom, the article presents that constructivism is in fact a very realistic and therefore practical epistemology that can contribute to security studies. Since security studies purports to explain the origins of conflicts and cooperation and prescript security policies to maximize the security of states, how far constructivism can contribute to security studies should be the subject of empirical conjecture. Constructivism provides alternative views as to how international politics functions based on formation of collective identities, power of ideas and practices of norms. And it believes that security and threat may vary depending upon content and contexts of inter-state relations, worldviews that actors subscribe to, and ideational structure within which states interact. While security studies based upon rationalism and materialism may only provide a static picture of the world, constructivism may provide more dynamic analyses of the changing international polit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