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2007년 세계금융위기는 국제정치경제학의 주류(또는 신고전파) 경제학 모방을 재고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미국 학파- 특히 개방경제정치 -는 과학화라는 명분으로 주류 경제학자들이 발전시킨 방법론들과 이론들을 적극적으로 모방해왔다. 이번 금융위기 이후 사회과학 연구의 표준으로 간주되어온 주류 경제학에 대한 비판이 제기되면서, 미국 학파의 방법론과 그 정책적 함의에 대한 근본적 검토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론적 측면에서 경제학의 위기는 미국 학파가 추구해온 과학적 방법론의 한계를 노출시켰다. 엄밀성을 강화하기 위해 도입한 연역적 방법과 계량 및 통계 기법은 행위자 수준의 전략적 상호관계에 초점을 두는 환원주의적 경향을 강화시켜 이번 위기와 같은 체제적 변환을 이해하고 설명하는데 실패하였다. 정책적 측면에서도 미국 학파는 주류 경제학이 강조해온 신자유주의적 의제들- 금융자유화, 무역자유화, 투자자유화, 민영화, 중앙은행 독립성 -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기보다는 경험적 검증에 치중하였다. 그 결과 미국 학파는 신자유주의에 의해 주변화된 불평등, 빈곤, 원조와 같은 연구의제도 간과해왔다. 이런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방법론적 다원주의와 함께 신자유주의의 탈피가 필요하다.


The global financial crisis of 2007 provides a good opportunity to rethink the imitation of mainstream(or neoclassical) economics in the study of international political economy(IPE). The American school of IPE - especially open economy politics - has imitated many methodologies and theories developed by mainstream economists in the cause of scientification. In the wake of the crisis, mounting criticism of mainstream economics regarded as the ‘gold standard’ of social science research gives rise to a fundamental investigation into the methodologies and policy implications of the American school. The crisis exposed the limitations of scientific methodologies pursued by the American school. Although deductive methods and econometrics/statistics have strengthened the rigor of its theories, its reductivist tendency, which highlights strategic interactions among agents, hinders understanding of systemic changes like the crisis. In addition, the school prefers verifying empirically - rather than examining critically - neoliberal agendas like financial liberalization, trade liberalization, privatization, and central bank independence. As a result, the school overlooks policy issues including inequality, poverty and aid, which have been marginalized by neoliberalism. To solve these problems, it is necessary both to encourage methodological pluralism and to de-emphasize neoliberalis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