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사실상 1987년 6월 민주항쟁 이후 한국 민주주의의 정치지형은 이른바 “1987년 체제”라는 참여민주주의적 정치 패러다임으로 전환되었다. 주지하듯이 ‘87체제’와 ‘제6공화국’은 아래로부터의 시민혁명에 의해 건설된 정치체제이다. 한국인들은 87체제하에서 처음으로 ‘국민(the people)’이라는 추상적이며 익명화된 존재가 아닌, ‘시민(citoyen)’이라는 개별자로서 정치적으로 권능화하기 시작했다. 그리고 87체제와 더불어 재탄생한 한국의 시민사회는 새로운 참여민주주의의 주체인 시민들의 정치참여를 위한 정치적 공간으로 자리매김하였다. 필자가 보기에 아렌트의 정치이론은 고전적 직접민주주의 정치 패러다임에 대한 깊은 성찰, 20세기 전체주의 체제와 대의민주주의에 대한 원론적 비판, 그리고 일련의 참여민주주의적 대안 모색 등으로 요약된다. 아렌트의 대의제 비판 요지는 그것이 일반시민이 정치적 행위를 수행할 수 있는 공적인 참여의 장을 제한함으로써 그들이 말과 행위를 통해 정치적으로 유의미한 존재가 될 수 있는 기회, 그리고 공적인 행복을 추구할 수 있는 기회를 제한한다는 것이다. 이 글은 이러한 아렌트의 대의제 비판과 정치행위론의 관점에서 1987년 이후 한국에서 전개되어 온 민주주의 진화과정의 실체적 내용과 그 의미를 조명한다.


After the June Democratic Struggle in 1987 the political setting of South Korea has been transformed into a participatory democracy, which is called "the 1987 Regime." As well-known, 'the 87 Regime' or differently 'the 6th Republic' is a political regime founded by a civil revolution from below. Under the 87 regime the Korean people started to think of themselves not as 'the people,' that is, an abstract and anonymous whole of a body politic, but as 'citoyens,' autonomous individual persons with political rights. And the civil society which was reborn with the regime has become the ever-present political realm for the citizens' political participation as well as deliberation. In fact, the citizens emerged as the new actors for the new participatory democracy of South Korea. As it may be, Hannah Arendt's political theory can be summarized as the following: a profound reflection on the classical Athenian paradigm of direct democracy, a principled critique for both totalitarian and/or representative democracy in the 20th century, and a theoretical search for some alternative(s) of modern participatory democracy to the ancient Greek Polis. The gist of her criticism, however, is that the representative democracy limits people's opportunity of becoming politically worthy by means of performing their "words and deeds" in the public spaces and thereby pursuing the meaning of their existence as well as "public happiness" out of acting in concert with others. From the point of this criticism and her theory of political action, I propose to shed light on the actual contents and the meaning of its evolutionary democratic process of S. Korea towards a participatory democracy after 1987 onwa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