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비대칭동맹’의 개념을 원용하면 조공체제는 명이 조선에 안보와 경제적 이익, 문화적 자원을 제공하고, 조선에서는 신뢰를 제공하여 명의 안보 비용을 낮춘 거래로볼 수 있다. 이 때 강대국의 약소국에 대한 신뢰는 비대칭동맹 유지의 필요조건이된다. 이것은 역사적으로 조선의 명에 대한 신속(臣屬)이라는 행태와 사대(事大)의규범으로 표현되었다. 16세기 말 17세기 초 일본 및 후금의 발흥으로, 영향력 있는행위자 수와 힘의 배분이 바뀌는 구조 변동이 진행되었다. 조선과 명의 양자적 힘의비대칭성은 유지되지만 명과의 사대관계에 의해 안보를 확보할 수 없게 된 조선은일본, 후금과의 우호관계 수립을 통해 위협을 관리해야 할 필요성에 직면하였다. 이과정에서 배타적 내속이라는 사대관계의 법적 형식을 훼손하지 않으면서, 실질적으로 동맹의 배타성에서 벗어날 방안으로 기미책이 대두된다. 이 글에서는 월사 이정구의 1598년, 1620년 두 차례 변무사행의 사례를 통해 이 문제를 살펴보았다.


The Chosun-Ming relations under the tribute system can be explained as strategic interactions between the powerful and the weak in asymmetric alliances. The rise of Japan and Jurchen in the late sixteenth and early seventeenth century changed the regional structure, and the bilateral alliance with Ming could not guarantee the Chosun its security. This paper examines how tribute missions functioned as an institutional framework to maintain the Chosun-Ming alliance in times of crisis. The reliability perception was a key factor in this procedure.